d라이브러리
"작은 배"(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변신!으…, 아니기를 바랐지만 양배추 녀석의 말이 사실이었어. 게다가 ... 잔뜩 나타났어.“요즘엔 우리처럼 작은 채소가 인기 최고라는 사실, 몰라 ... 전북 무안군에 있는 밭에서 우연히 작은 야생 참외를 발견했어요. 이 야생 ... 먹는 크고 달콤한 참외와 여러 번 교배해 중량이 10~15g밖에 안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내스 교수가 1996년 발표한 책 ‘미디어 방정식’에 따르면, 우리가 작은 화면보단 큰 화면에서, 정적인 물체보단 움직이는 물체에서 더 실재감을 ... 했다. 우리로 치면 세월호 사건을 가상현실로 만들어 침몰하고 있는 배 속의 시공간을 경험하는 것과 같다.INTERVIEW | “가상현실에서 새가 될 수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요구르트 발효에 사용되는 대량의 유산균을 배양 할 때 세균 감염을 막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 했다. 반면에 크리스퍼는 단백질 보다 훨씬 작은 RNA가 그 역할을 한다. DNA 100개만 바꾸면 전혀 ... 않았다. 그러나 기존 유전자 조작 마우스는 일단 배 아줄기세포 수준에서 유전자 조작을 하고, 조작된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검은 이유는 대부분의 가시광선을 흡 란 가마에 작은 구멍을 내보면, 구멍이 검게 보인다.까만 종이는 가시광선 영역에서만 검지만, 큰 가마 에 있는 작은 구멍은 모든 파장의 빛에서 검다. 이 부분 이 ... 플랑크는 빛의 에너지를 진동 수의 정수배로 나타냈다. 이 때 진동수를 에너지로 바 꿔줄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그래서 E-ELT는 한 장의 큰 거울 대신 작은 벌집 모양의 거울을 이어붙이는 ... 예정이에요. 허블우주망원경보다 15배나 선명한 사진을 통해 130억 광년 ... 2.4m? 지상의 거대망원경에 비해 너무 작은 거 아냐?우주의 ‘돛단배’, 제임스 웹(JWST)허블우주망원경은 지상이라면 소형에 속할 2.4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진동수의 비가 2:3이고, 진동수가 2배가 되면 계이름이 같고 한 옥타브 ... 음악의 색깔은 ‘분홍색’낮은 음(작은 진동수)부터 높은 음(큰 진동수)까지 ... 갖춰야 한다고. 대박 영화에 작은 역할로라도 출연하면 좋을 텐데…. ... 위해서는 좋은 시나리오와 연출력, 배우의 탄탄한 연기력 등이 갖춰져야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정면에 있는 가상물체에 초점을 맞추면 주위 배 경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였다. 1985년부터 ... 가 발달하면서 풀HD급 영상(1920x1080)을 1인치보다 작은 칩에 담을 수 있게 됐다.하지만 풀HD 해상도를 ... 몰입감을 높이지 않을까. 풀HD보다 해상도가 두 배 높은 UHD 기술도 있는데 말이다.시각능력의 마지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어디에나 붙일 수 있으면서도, 해상도가 최신 스마트폰보다 최대 7배 뛰어난 신개념 디스플레이가 개발됐다.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 개발했다. 양자점 LED는 지름이 10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수준인 작은 반도체 결정을 이용해 빛을 내는 방식이다. 별도의 광원 없이 결정의 크기만 조절하면 ...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있다. 우리와 같은 포유류가 가지고 있는 등이나 배의 근육들은 모두 퇴화했다.장수거북은 단단한 ... 등장하는 재빠른 발놀림의 퀵실버는 음속의 5배나 되는 초고속 스피드로 적을 제압한다. 물론 ... 서식하는 아가마도마뱀이다. 아가마도마뱀은 작은 곤충들을 즐겨 먹는데, 이들이 특히 좋아하는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다리에서 신경을 타고 척수로 들어간 감각신호는 시상하부 에 있는 후측배내측핵을 거쳐, 대뇌 피질의 좌․우측 섬엽에 도착한다. 만약 가상 신호가 ... 최홍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혈구 보다 작은 로봇이 스스로 전기나 초음파 등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면 가능성이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