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Antenna)안테나는 전자기기에서 전파를 보내거나 받기 위한 금속 장치를 말해요. 영어인 안테나는 한국말로 ‘더듬이’를 뜻해요. 곤충들이 머리에 있는 더듬이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처럼 ‘전파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생긴 것도 더듬이와 비슷하지요.개인 주택이나 ...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용어가 컴퓨터와 휴대폰 같은 기계와 관련해서 많이 사용돼요. 서로 다른 두 장치를 이어주는 매개체라는 뜻으로요. 예를 들어 프로그램 아이콘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둘을 연결하는 매개체예요.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조작하도록 매개하는 키보드와 마우스도 마찬가지로 ...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풍속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개발된 초음파 풍속계지요. 초음파 풍속계는 초음파를 쏘는 장치와 초음파를 받아들이는 장치를 이용해 초음파가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계산한답니다. 또 가열된 와이어가 바람의 세기에 따라 식는 정도를 측정하거나 레이저 빛이 산란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풍속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답니다. 이 ... ...
-
- 신비┃인간을 왜 '별의 먼지'라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만들어질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다. 한 예로 강헌 서울대 화학부 교수팀은 극저온 초진공 장치로 영하 260도~영하 170도의 진공 환경을 만들고 인공 얼음 시편을 넣은 뒤, 이산화탄소, 메틸아민 성분을 넣는 실험을 진행했다. 시편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질량분석기로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얼음 ... ...
-
- 탐험┃러시아, 혼자서 할 수 없다, 협력하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TGO를 올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때에도 착륙선인 스키아파렐리는 낙하 도중 감지장치 오류로 추락했다. 스키아파렐리를 제외한 TGO는 현재 엑소마스 2016으로 불린다. 러시아는 유럽과 함께 2020년 7월 궤도선과 탐사 로봇을 화성 적도 인근 옥시아 평원에 보내는 ‘엑소마스 2020’ 계획을 준비하고 ... ...
-
- 영감┃우주인의 드레스룸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설치돼 있어 우주 공간에서 유영이 가능하다. 영화 ‘그래비티’에 나오는 우주 유영 장치를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위험성이 높아 현재는 쓰이지 않으며, 로봇팔이나 안전줄에 우주복을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우주왕복선용 여압복 Pressure Suit 선내생활복 Space station Clothing우주복을 입고 ... ...
-
- 축제에 웬 귀신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등 모든 디지털 정보를 이진법으로 표현한 뒤 기억 장치에 저장하지요. 컴퓨터의 기억 장치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본체 속에 있는 ‘하드 디스크’예요. 하드 디스크는 원반 모양의 ‘플래터’와 길쭉한 ‘헤드’로 이뤄져 있어요. 플래터는 정보가 저장되는 장소이고, 헤드는 이런 플래터 ... ...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올라가 필름이 녹아 없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NASA는 카메라에 고온을 견딜 특별한 보호 장치를 했고, 아폴로 우주선이 머무른 것은 온도가 크게 올라가지 않는 시간대였다고 해명했다.한 때는 달 표면에 찍힌 우주인의 발자국도 논란이 됐다. 달의 중력은 지구의 6분의 1이다. 따라서 우주인의 ... ...
-
- 탐험┃인도, 첫 시도에 성공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없이 첫 시도에서 달 탐사에 성공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찬드라얀 1호는 작은 충돌 장치를 달 표면에 추락시켜 생명체 존재에 필수적인 물(구름)의 존재를 확인했다.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본격적인 우주 개발을 위해 예산의 절반 이상을 발사체 개발에 집중하며 발사체의 국산화에 힘써 ... ...
-
- 노약자를 위한 로봇에 힘을 싣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0번 이상의 촉각 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답니다. 저는 진동을 이용해 촉각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를 개발하고 있지요.또한 입는 로봇이 사람의 일을 ‘적당히’ 덜어주는 것도 중요해요. 예를 들어 입는 로봇을 사용해 10kg의 물건을 들 때 로봇이 10kg의 무게를 모두 들어 주면 사람은 무게감을 느낄 수가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