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원"(으)로 총 3,3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과정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학생들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진로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기계공학전공신입생 모집 정원은 115명, 교수진은 34명이다. 신입생은 교수와 1대 1 면담을 의무적으로 한다. 박 교수는 “학생이 교수와 1대 1로 만나서 고민과 관심사를 이야기하고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발전시켜오지 못했다면 동형암호는 등장하지 못했을 것이다. 수학, 나아가 기초연구를 지원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향숙_hsl@ewha.ac.kr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제24대 대한수학회장을 맡고 있다. 오랫동안 공개키 암호를 연구해 ...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석합격자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스펙’도 다양해졌다. 과학동아는 GIST의 지원을 받아 수석합격자에 부합하는 학생을 만나, 중·고등학교 시절 학업 방법을 듣고 이를 통해 대학 합격 비결을 분석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소외 질병을 연구하고 싶습니다. 이런 명확한 꿈이 저를 ... ...
-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교과 성적의 ‘진짜’ 의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통해 얼마나 학생의 강점을 드러내는지가 중요하다. 즉, ‘이 정도 등급이면 어디까지 지원이 가능하나요?’라는 수험생들의 물음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정성평가를 정량적 기준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학생부종합전형과 정성평가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돼야 올바른 입시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했다. 2001~2008년 전통의학 분야에서 남북 교류는 활발한 편이었다. 인도적 차원의 물품 지원과 함께 2003년과 2006년에는 한의학 학술토론회가 평양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하지만 당시 교류는 기본 정보를 교류하는 수준에 그쳤을 뿐 실질적인 연구 협력으로 확대되지는 않았다. 전통의학에 대한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평가받고 있다. 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는 2017년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개설됐으며, 천 교수가 센터장을 맡아 산업계가 당면한 문제의 해법을 수학에서 찾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MS, IBM 등이 개발한 프로그램은 정수를 연산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반면, 혜안은 ... ...
- [인터뷰] 정원영_광주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학교생활 최우선, 사교육 최소화”과학동아 l2018년 05호
- 2단계 평가, 선행학습 도움 안 돼2018학년도 광주과학고 입학전형에서는 710명이 지원해 1단계에서 100명 미만이 탈락했다. 1단계 평가의 경우 탈락자가 그리 많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2단계 종합적 문제 해결력 평가에서는 150여 명만이 선발돼 3단계 전형을 치렀다. 1단계에 비해 2단계 탈락자가 많다 ... ...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계량경제학’을 연구하고 있는데, 일종의 통계 모델을 개발하는 분야예요. 맨 처음 지원서를 쓸 때 HI-SEAS 프로젝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통계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제안했답니다. 지금까지 다섯 번의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하나가 끝나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임무를 더하거나 빼는 등 ... ...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4년 내내 등록금을 면제 받을 수 있으며, 여름학기에 해외대학 연수 교육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설명도 들었어요. 이런 부분들 모두 매력적이었지만, 제가 DGIST 진학을 결정하게 만든 건 학부전담교수제였답니다.” 진 씨는 많은 대학교 중 DGIST를 선택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진 씨는 고등학교 ... ...
- [재학생 인터뷰] 꿈은 달라도 출발은 전기·정보공학부에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입학한 18학번 표재우 씨는 “내신 성적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대부분의 지원자들이 서류 작성에 심혈을 기울이는 만큼 결국 변별력을 갖는 부분은 내신 성적이라는 것이다. 표 씨는 특히 “영재학교의 경우 학교 수학 시험이 서울대 구술시험처럼 증명을 하는 방식으로 출제되기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