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뉴스
"
월
"(으)로 총 27,026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빠른 속도의 기후변화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5.25
북극 지역 호수 확장을 포착하는 등 북극 및 산림 변화를 관측했다. KAIST는 2023년 5
월
25일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에 실려 발사된 차세대소형위성2호가 국산 영상레이다(SAR) 기술 검증, 전천후 지구 관측 등의 임무를 완수했다고 25일 밝혔다. 차세대소형위성2호에 탑재된 ... ...
27일 전공의 추가 모집 마감…막판 지원 몰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5.25
사항이 반영되지 않은 것도 전공의 복귀의 발목을 잡고 있다. 6
월
수련을 시작해 12개
월
간 수련을 받는 인턴은 내년 3
월
레지던트를 시작할 수 없다. 의료계는 인턴 수련기간을 단축해 내년 레지던트 1년차 수련을 시작할 수 있도록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 ...
[헬스토크] 노인층 대장내시경 부작용 예측 도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5
45배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았다. 연구팀에 따르면 2022년 9
월
부터 2023년 12
월
까지 타 의료기관 2곳에서 수집한 대장내시경 검사 9154건 데이터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했을 때 비슷한 결과가 도출됐다. 천 교수는 “과거에는 단순히 고령이라는 이유로 시술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나이 ... ...
광고성 메일을 '스팸메일'로 부른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5.2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메일함에서 광고성 이메일을 발견하고 휴지통에 버린 적 있나요. 광고나 홍보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동의 없이 전달되는 ... 그렇게 이메일에 스팸이라는 말을 붙이게 되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5
월
15일, [이달의 과학사] 딩동! 최초의 스팸 메일 ... ...
백령도에서 야생 점박이물범과 눈 맞췄다…"숨쉬기도 조심스러워"
과학동아
l
2025.05.24
가을에 오세요. 그때 꼭 하늬해변을 다시 찾아보시길 바라요." ※관련기사 과학동아 5
월
호, [내가 만난 멸종위기종] 점박이물범, 그 섬에서 봄 손님을 ... ...
자막처럼 펼쳐지는 실시간 대화…청각장애인용 스마트클래스 '씨사운드'
과학동아
l
2025.05.24
과학동아 제공 모든 대화를 입과 귀가 아닌 오로지 손과 눈으로만 해야 하는 청각장애인. 2023년 기준 한국의청각장애인 인구는 43만 3000명에 달한다. 일상 속 작은 소 ... 끼고 편하게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세상이 올 거라고 믿습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5
월
호, 자막처럼 펼쳐지는 실시간 ... ...
[사이언스영상] 우주 미아 '보이저1호' 20년만에 부활
SEIZE
l
2025.05.24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년 넘게 작동하지 않던 탐사선 보이저 1호의 엔진을 복구했다고 5
월
14일 발표했다. 지구에서 약 250억km 떨어진 심우주를 떠도는 보이저 1호를 원격으로 수리한 것이다. 보이저 1호는 1977년 발사돼 인류 역사상 가장 먼 우주를 여행한 무인 탐사선이다. 먼 우주에서도 지구와 ... ...
[인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부원장 이명종 △정책기획본부장 이현석 △경영지원본부장 김남웅 △글로벌협력본부장 김유정 △인력경영실장 이효정 (이상 5
월
26일자)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광주과학관, 우주과학 특별전 기념이벤트 진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우주항공 문화 주간’을 기념해 27일~6
월
1일까지 ‘2025 우주과학 특별전–지구 너머의 세계’ 전시와 연계한 특별 이벤트를 운영한다. 국립광주과학관 제공 ■ 국립광주과학관은 ‘우주항공 문화 주간’을 기념해 27일~6
월
1일까지 ‘2025 우주과학 특별전–지구 너머의 세계’ 전시와 연계한 특별 ... ...
펭귄 배설물, 남극에 구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펭귄 배설물이 구름 형성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2023년 1
월
10일부터 3
월
20일까지 남극 마르비아노 기지 인근에서 대기 중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했다. 기지에서 약 8킬로미터 떨어진 아델리펭귄(학명 Pygoscelis adeliae) 6만 마리가 사는 군락지 방향에서 바람이 불어오자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