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장
자계
뉴스
"
자기장
"(으)로 총 782건 검색되었습니다.
fMRI 보다 빠르고 정밀한 뇌측정 기술 나온다
과학동아
l
2014.05.27
표준연 생체신호센터장 팀은 뇌에서 일어나는 산소 농도변화 대신 뇌파가 발생하는 진동
자기장
이 뇌 속 양성자를 공명시키는 현상에 주목했다. 이른바 ‘뇌파자기공명’ 방식으로, 이 방법을 이용하면 뇌파가 진동하는 부분을 직접 영상화하기 때문에 뇌의 각 부분이 어떻게 연결돼 통신하는지 ... ...
개별 세포 조종 성공…맞춤형 치료 가능해지나
과학동아
l
2014.05.21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의 ‘자성나노입자’를 결합시켰다. 그리고 쥐의 몸 밖에서
자기장
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해 세포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 세포를 원하는 곳으로 보낸 다음 주사기로 몸 밖으로 꺼내는 실험도 성공했다. 이 기술은 의료분야는 물론 다양한 ... ...
전력선 없어도 고속열차 '쌩쌩'
과학동아
l
2014.05.21
있지 않냐는 질문도 쏟아졌다. 이에 대해 이수길 철도연 박사는 “열차가 지나갈 때만
자기장
과 집전모듈이 반응해 전력이 생성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감전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아도 좋다”고 말했다. 그러나 급전장치가 깔린 선로를 구축하는 비용이 일반 선로 건설비용보다 km당 10억 원 더 ... ...
대벌레에서 ‘종의 기원’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18
네이처에 발표했다. 유럽울새는 몸속에 나침반 같은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어 지구의
자기장
을 인식해 움직인다. 하지만 전자파는 이 감각기관을 교란시키기 때문에 새는 방향을 잃고 만다. 실제로 연구팀은 유럽울새 주위에 전자파를 쏘는 실험을 통해 유럽울새가 길을 잃는 것을 확인했다. ... ...
전자파가 철새를 길치로 만드네
과학동아
l
2014.05.11
되찾았다. 연구팀은 “철새는 몸속에 나침반 같은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어 지구의
자기장
을 인식해 움직인다”며 “전자파가 새의 이 감각기관을 교란시키기 때문에 새가 방향을 잃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7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우리은하
자기장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4.05.07
공간이 워낙 넓다 보니 그 세기가 지구의 10만 분의 1에 불과하다”면서도 “미약한 은하
자기장
때문에 성간물질들이 별로 탄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 ...
스파이더맨 두 '악당(?)'의 과학적 비밀
과학동아
l
2014.04.30
자기장
을 이용해 전류의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웹슈터 안에 넣은 자석의
자기장
으로 접근해 오는 번개의 방향을 바꾸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수만 볼트가 넘는 고압의 번개를 작은 자석 하나로 막아내는 것은 영화적인 허구다. 정순신 한국전기연구원 ... ...
2012년 인류 종말 올 뻔 했다고?
과학동아
l
2014.03.19
입자들은 태양풍을 타고 우주공간으로 휩쓸려 날아가는 데 이 입자들과 충격파가 지구
자기장
을 강타했을 때 지자기폭풍이 발생한다. 지자기폭풍은 규모에 따라 작게는 무선통신을 마비시킬 수 있고, 나아가 인공위성을 망가뜨릴 수 있으며 심하게는 땅에 사는 인간을 포함한 생물들에게 방사능 ... ...
좀 더 깨끗하고 선명하게...화질 전쟁 뒤에 숨은 수학
수학동아
l
2014.03.14
반응과 분포를 통해 질병 정보를 파악한다. 반면 MREIT는 인체에 전류를 흘려 줄 때 생기는
자기장
을 측정해 세포의 전기 전도율 변화를 확인하는 장치로, 정상 세포와 암 세포의 전기 전도율 차를 통해 질병 여부와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장치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인체 신호를 영상으로 ... ...
올해 대형 태양흑점 폭발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9
낮보다는 밤에 3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 우주전자입자를 끌고 다니는 태양 자기풍은 지구
자기장
에 끌려 밤 시간대에 지구 쪽으로 유입되기 때문. 올해는 이런 대규모 흑점폭발이 다시 일어날 확률이 매우 높다.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감시센터 이재진 선임연구원은 “태양 흑점 활동은 보통 1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