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스페셜
"
기계
"(으)로 총 90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로봇공학’ 제공 다음으로 진짜 피부를 모방한 전자피부를 만들었다. 피부에는 다양한
기계
적 감각(촉각, 통각, 온도감각) 수용체가 존재하는데, 전자피부에는 각각 촉각과 통각 수용체 역할을 하는 두 가지 유형의 압전저항(piezoresistive) 센서를 집어넣었다. 즉 진피(dermis)에 해당하는 아래쪽에 넣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 내 정신은 온갖 사실을 다 모아놓은 것에서 일반 법칙을 이끌어 내는 일종의
기계
가 된 듯하다. … 인생을 다시 살 수 있다면 적어도 매주 한 번은 시와 음악을 즐기는 규칙을 세울 것이다. … 이런 취향을 잃는다는 것은 행복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참기 어려운 뭔가가 있다. 흥미롭게도 화학적 자극과 물리적(
기계
적) 자극에 대한 가려움 반응이 따로 진화했고 나이가 들수록 민감해지는 건 물리적 자극에 대한 반응이다. 즉 몸에 뭔가가 살짝만 닿아도 가려움이 강하게 느껴지고 오래 간다. 미국 위싱턴대 가려움연구센터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때문에 생존할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나오미치 오기하라 게이오대
기계
공학과 교수팀은 네안데르탈인과 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뇌 구조를 비교한 결과, 호모 사피엔스의 소뇌가 8배 가량 더 크다는 사실을 발견해 ‘사이언티픽 리포트’ 26일자에 발표했다. 소뇌는 언어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김진의 교수 2000년 한국을 방문했을 때도 그랬다. 그와의 대화는 상당한 인내를 요했다.
기계
의 도움을 받더라도 질문을 하면 대답이 오기까지 10분이 걸렸다. 그것도 긴 문장이 아니라 “네가 졌다(You lose)” 같은 아주 간결한 단어였다. 아마도 호킹의 지도를 받는 학생들만 경험이 쌓여 원활하게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
2018.03.15
등장할 정도로 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새겨졌다. 대중에게 알려진 것과 달리 그는
기계
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자유롭게 말을 하지 못했다. 강연은 거의 녹음에 의존했다. 이필진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교수는 “1990년대에 캘리포니아공대(칼텍)를 방문한 호킹 박사에게 연구 주제에 관해 대화를 나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여러 층이 생긴 현상이 이해가 안 된 프랭크하우저는 유체역학 전문가인 프린스턴대
기계
항공공학과 하워드 스톤 교수에게 이메일을 보내 답을 구했다. 사실 구글에서 ‘layered latte’로 검색해보면 프랭크하우저가 발견한 멀티 레이어드 라테 이미지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카페라테의 일종인 ... ...
[사이언스 지식IN] 연초형 일반 담배 VS 궐련형 전자담배, 건강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것이 확인됐어요. 시험분석을 담당했던 남현주 한국소비자원 책임 연구원은 “
기계
사용으로 인한 금속성 물질도 연기에서 발견되지 않는 등 액상형 전자담배에서 니코틴을 제외한 유해성분은 전체적으로 연초 담배보다 적게 나타났다”고 말했습니다. ※ 연초 담배와 전자 담배 비교법: 연초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영향을 주기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코벤트리대학의 심리학 박사 토니 로렌스는 ‘
기계
속의 유령’이라는 저서에서 초처주파를 통해 유령을 보는 환각을 경험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그가 일하는 곳은 ‘유령이 나오는 실험실’로 불리었습니다. 원인은 조용히 돌아가는 팬이 만들어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B)의 경우 2016년과 2017년 두 가지 습도수용체가 잇달아 발견되면서 수정이 필요하다. 즉
기계
감각뉴런(mechano)을 바퀴벌레(A)처럼 mechano(dry cell)과 mechano(moist cell) 두 가지로 표시해야 한다. - 신경생리학저널 제공 이에 따르면 우리가 고온에서 다습을 느끼는 건 전적으로 촉각의 작용으로 여기에는 땀이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