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프 분석해 패턴 찾아내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달의 고지’ 지형에 풍화되지 않은 채 남아있지만 ‘달의 바다’에도 지름 1km가 넘는
큰
분화구가 1000개 쯤 있다. 이곳에 있는 분화구들은 화산활동 때 흘러내린 용암으로 덮여 메워져 있다. 여기서 간단한 계산을 해보자. 만약 달 표면에 있는 1만 개의 분화구가 모두 생기는데 10억 년이 걸렸다면 ... ...
“내 뿔을 조심하세요!” 트리케라톱스의 뿔은 싸움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용했다면 트리케라톱스나 센트로사우루스 화석에 남아 있는 상처의 비율에
큰
차이가 없을 거라고 생각했거든요.무려 400개가 넘는 화석을 분석했다고 들었는데, 결과는 어떻게 나왔나요?트리케라톱스 화석에서 10배나 더 많은 상처의 흔적이 나왔답니다. 그러니까 트리케라톱스가 단순히 ... ...
만져라, 느껴라! 신나는 터치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중요하게 쓰일거예요.햅틱이면 수술 훈련도 거뜬해!의학 분야에서 햅틱 기술은 이미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햅틱 기술을 이용한 모의 수술훈련장치를 이용하면 실제 환자 없이도 위험한 수술을 연습할 수 있다. 모의 수술훈련장치는 수술할 때 의사의 손에 전해지는 촉감을 가능한 비슷하게 느끼게 해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일으킬 만한 미약한 신호까지 구분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들은 대부분 목성만큼
큰
행성들이다. 게다가 별에 가까워서 공전주기가 짧은 행성들이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지구와 비슷하게 1년 정도의 공전주기를 갖는 외계행성까지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별빛가림 방법은 크지 않은 ... ...
[환경학]기후 변화가 빈곤한 ‘바다 밥상’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물벼룩을 잡아먹은 작은 물고기,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은
큰
물고기가 모두 부실 체질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수산물을 섭취하는 사람도 충분한 영양을 얻지 못한다.연구진은 기후변화가 시작되면서 지상에선 동식물이 서식지를 옮기는 현상이 이미 ... ...
서해서
큰
소리치는 조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돈 실러 간다”라며 흥에 겨운 노동요가 울려 퍼졌다. 어장 부근에 파시라고 불리는
큰
시장이 들어섰고, 날마다 노래판과 술판이 어우러져 북새통을 이뤘다.정약용은 ‘경세유표’(經世遺表)란 책에서 “연평 바다에서 조기 우는 소리가 우레처럼 은은하게 서울까지 들려오면 만 사람이 입맛을 ... ...
[화학]용액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뿌리 속 세포액이 흙속의 물보다 고장액기 때문이다. 역삼투압 정수기는 삼투압보다
큰
압력을 고장액 쪽에 가해 순수한 물을 얻는다.생리 식염수는 혈액과 농도가 같아야 한다. 식염수의 농도가 혈액보다 크면 적혈구 같은 세포에서 물이 밖으로 빠져나와 세포가 쪼그라들 고, 반대로 식염수의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개인용 컴퓨터는 보통 5000억 바이트(500GB)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도서관으로 알려진 미국 의회 도서관의 장서를 컴퓨터 데이터로 환산하면 약 32조 바이트에 달한다고 한다. 그러면 인간의 뇌의 기억 용량은 얼마나 될까? 인간의 뇌는 하나의 시냅스를 1 바이트로 가정하면 최대 1 ... ...
세계에서 가장
큰
뱀 화석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1140㎏의 거대 뱀 화석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뱀 중 가장
큰
것으로, 웬만한 버스보다도 긴 어마어마한 크기지요. 뱀은 스스로 열을 내지 못하는 변온동물이라 주변에서 열을 흡수해야 체온을 유지할 수 있어요. 따라서 이 정도 크기의 뱀이 살았던 당시에는 평균 온도가 3 ... ...
달콤쌉싸름한 초콜릿 대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예를 들어 미국에서 만들어진 초콜릿은 카카오매스 가루 하나의 지름이 40㎛* 정도로
큰
데 반해 유럽은 15㎛로 작다. 가루가 작을수록 먹을 때 미끌미끌한 느낌이 나기 때문에 유럽 초콜릿을 먹으면 조금 느끼한 기분이 드는 것이다. 우리나라 카카오매스 가루는 미국과 유럽의 중간인 25㎛ 정도로, ... ...
이전
747
748
749
750
751
752
753
754
7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