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추론하고 행성 와도의 정의에 맞게 적용합니다. 2) 위도 변화에 따른 행성 와도 변화를
이용
해 설명합니다. 3) 수심이 변할 때, 포텐셜 와도가 보존되기 위한 다른 물리량의 변화를 구체적 운동으로 해석합니다. 4) 앞의 문제에서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포텐셜 와도가 보존되는 유체 기둥의 높이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파장과 운동량의 관계가 다음과 같다고 설명했다. 이는 후일 데이비슨과 저머가 전자를
이용
한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λ(파장) = h(플랑크상수) / P(운동량) 빛의 이중성 두 실험에서 빛은 파동의 성질과, 입자의 성질을 보여줬다. 하지만 두 개의 실험에서 파동성과 입자성이 동시에 보이진 않았다. ... ...
열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문에 설치된 자물쇠는 이런 원리로 만들어졌다.실린더 자물쇠 문이 잠기면 스프링을
이용
해 볼트를 문 사이로 밀어 넣는다. 열쇠를 구멍에 넣고 핀을 들어 올리면 실린더가 자유롭게 분리된다. 이때 열쇠를 돌리면 실린더가 회전해서 캠이 볼트를 끌어당기게 된다. 잡았던 열쇠를 놓으면 스프링이 ... ...
디지털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디지털 신호로 바꾸고 파동함수를
이용
한다. 이 함숫값은 사람마다 다르다. 이것을
이용
해 홍채인식기는 각 개인의 정보를 보관한다.“40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자물쇠와 열쇠는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다. 단지 지금은 사용하는 곳과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바뀌었을 뿐 우리의 소중한 것을 ... ...
Part 4. 집에 오는 길은 힘들어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시스템은 전국 모든 고속도로의 상황을 관리해. 지난해 한가위 연휴 기간에 고속도로를
이용
한 차량은 하루 평균 360만 대였어. 한가위 당일은 무려 429만 대나 됐지.부산에서 서울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어떻게 예상하죠?한국도로공사는 연휴기간이 비슷한 해의 교통상황과 최근 한가위 때의 교통량을 ... ...
계산법의 혁명, 로그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단위에도 쓰인다. 지진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위 리히터는 지진파의 최대 진폭을
이용
해서 지진의 크기를 알려 주는 단위다. 지진의 최대 진폭은 매우 큰 수로 표현되는데, 이때 로그는 큰 수를 작은 수로 바꿔 누구나 쉽게 그 정도를 알 수 있게 돕는다. 이처럼 편리한 계산에서 출발한 네이피어의 ... ...
잘 쓰면 약이 되지만 잘못 쓰면 독이 되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수 있는 만큼 통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해. 여기서는 선생님이 알려준 통계를 잘못
이용
한 예를 소개할게.대표적인 예가 이혼율이야. 2009년 OECD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이혼율은 OECD가입국 중 1위야. 그런데 여기에 문화적 차이가 빠져 있어. 외국은 동거 문화가 익숙해 혼인신고를 미루고 ... ...
짜릿한 롤러코스터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스케이트 보드의 경기장, 수영장의 미끄럼틀은 사이클로이드 곡선의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
한 예다.사이클로이드 곡선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고풍스러운 한옥집의 기와는 사이클로이드 모양과 비슷하다. 또 잉어의 비늘에 있는 둥근 곡선도 사이클로이드 곡선과 닮았다. ... ...
탈탈, 슥슥~. 빨래 개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수건을 비틀어 모서리를 찾아 잡지요. 잡은 수건은 한번 ‘탈탈’ 턴 뒤 탁자의 귀퉁이를
이용
해 ‘슥슥’ 접는답니다.아하! 이렇게 깔끔하게 접힌 수건은 처음 봐요! 꼭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는 로봇처럼 정교하네요.어머! 저를 그런 촌스러운 로봇과 비교하시는 건가요? 부품 조립 로봇도 정밀한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요즘 각광받는 증강현실은 PC와 스마트폰으로는 처리할 능력이 충분치 않다. 클라우드를
이용
하면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내 3D 영상의 인식과 분석이 가능하다. 결국 클라우드는 기존의 슈퍼컴퓨팅 또는 대규모 컴퓨팅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구축 및 유지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기존에는 ... ...
이전
748
749
750
751
752
753
754
755
7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