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1. 하드디스크 소형화 일등공신 거대자기저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헤드다. GMR 헤드는 두 개의 강자성층 사이에 보통 금속층을 껴 넣은 ‘스핀밸브’ 구조를
사용
한다. 헤드 안의 스핀밸브는 위쪽 강자성층은 자기화의 방향이 고정돼 있지만, 아래쪽 강자성층은 고정돼 있지 않아 디스크에 새겨진 자기정보에 따라 자기화의 방향이 달라진다.하드디스크의 헤드가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시차를 42분으로 정해 쓰던 조선시대 사람들이 오히려 한반도의 경도에 맞는 시간을
사용
했다고 할 수 있다. 경도선은 1884년부터 세계적인 합의를 거쳐 그리니치 표준으로부터 15° 간격으로 같은 시간대를 배분했다. 우리가 천문학적으로 합당한 시간을 쓰려면 서울을 통과하는 동경 127°의 표준시를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네이처’에 발표했다.“모든 에너지의 근원은 태양이고 그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
하는 생명체는 식물입니다. 식물은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하는 높은 효율의 광합성공장을 가동하고 있죠. 이 신비로운 과정을 분석할 수만 있다면 그대로 모방하는 일도 가능합니다.”조 교수는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말한다 따라서 위상이 같은 곳에서는 상태(시각·장소)가 같게 된다 반면 천문학에서
사용
되는 위상이란, 태양광을 반사하여 빛나는 행성이나 달의 빛나는 면이 어느 정도 지구를 향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행성과 지구를 연결한 직선이 태양과 행성을 연결한 직선과 이루는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신하다. 유전자 적중 쥐를 이용하면 질병 치료 방법이나 치료제를 미리 실험한 뒤 인체에
사용
해도 안전한지 미리 검증할 수 있다. 유전자 적중 쥐를 만든 ‘트로이카’가 “우리는 긴급구조대보다 사람의 목숨을 더 많이 구했다”고 말한 것도 일리 있는 셈이다.카페키 교수와 스미시스 교수는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151kg.● 종이컵 1개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frac{0.843kg+151kg}{20만개}$ = 0.759g/개5.
사용
한 뒤 소각종이컵의 재활용율은 약 14%.나머지 컵을 모두 소각한다고 가정.종이컵 1개를 소각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5g(종이컵 한 개 무게)x0.86(종이컵 소각비율)x1.045(종이쓰레기 소각시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카자흐스탄 전통 말회초리를 선물 받았는데, “우주에 머무는 동안 동료들에게 회초리를
사용
하는 일이 없길 바란다”며 너스레를 떨었다.10월 13일 말레이시아 현지 시각으로 오전 0시 33분. 이들이 탑승한 소유즈가 ISS 도킹에 성공했다. 소유즈에서 ISS로 통하는 해치 뚜껑을 열고 나온 무스자파는 ... ...
여인의 초상 제8화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흐름만 살피고 세세한 업무는 전문가로 구성된 비서진이 맡습니다. 발병 이후 카드를
사용
해 반복 보고를 드린 것은 달라졌지만, 아침마다 그 날 만날 일정과 나눌 대화들을 정리해 보고하는 건 똑같아요. 대통령이란 그 사람 혼자가 아니라 비서진과 한 몸이라고 보는 게 이해를 돕겠네요 ... ...
차세대 로봇청소기 베스트3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해결해 줄 강력한 흡입력을 갖고 있다. 에너지 효율성이 좋고 영구적인 BLDC 모터를
사용
, 다른 로봇청소기보다 2배나 강한 110W의 흡입력을 자랑한다. BLDC 모터는 구리로 만들었던 브러시를 반도체로 교체, 마찰에 의한 마모를 대폭 감소시킨 획기적인 모터다. 이와 더불어 은나노 필터를 장착해 ... ...
철새의 눈은 자기장을 본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옥스퍼드대 리드보겔 교수는 “철새가 자기장을 본다고 주장하려면 신경 추적물질을
사용
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아니라 실제 새가 방향을 감지할 때 시상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이전
755
756
757
758
759
760
761
762
7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