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과학동아 l2022년 09호
-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화학을 전공한 뒤 연세대에서 기술정책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LG화학, 사우디아라비아 기초산업공사 등 화학 회사에서 일하던 곽 작가는 2022년부터 숭실사이버대 환경안전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곽 작가는 2006년부터 ‘제2의 ... ...
- [논문탐독] 중독에 강하거나 약하거나 우리 뇌에 달려 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있습니다.DRD2의 발현을 제어해 중독을 조절할 수 있는지도 확인했습니다. 유전공학 기술로 쥐의 DRD2 유전자를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발현시킨 뒤 행동을 관찰했습니다. DRD2 유전자가 많이 발현되면 코카인을 더 강하게 갈구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코카인을 원하는 정도가 약했습니다. DRD2 발현에 따라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샷이 크게 적다고 해요. 등의 독립영화를 연출하고 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 진학한 장지윤 석사과정연구원이 한국과 미국 박스오피스 상위 20위 안에 드는 영화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한 결과, 미국보다 한국 영화에서 편향성이 컸죠. 이런 일이 왜 발생하는지를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편견을 뛰어넘은 여성 수학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결국 제 열정을 인정해주셨지요. 그러고 보니 여성 수학자는 오랜만에 뵙네요. 과학과 기술을 배우는 학교인 ‘에콜 폴리테크니크’는 남학생만 입학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강의 자료는 누구나 보고 공부할 수 있었지요. 저는 ‘르 블랑’이라는 남학생 이름으로 수학과 교수인 조제프 루이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서로 상쇄되는 ‘간섭 효과’를 이용하는 거예요. 이 효과를 이용해 홀로그램을 만드는 기술을 ‘홀로그래피’라고 하지요.보통 사진은 물체에 반사된 빛이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맺힌 상이 필름에 기록된 거예요. 반면 홀로그램은 2개의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요. 물체에 반사된 빛의 파동(물체파 ...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특별한 이론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어요. 그런데 안드리 본다렌코 노르웨이과학기술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이 추측을 해결해 보자고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2011년 본다렌코 교수와 관련 주제의 논문을 냈지만, 그 뒤에는 큰 진전이 없었어요. 그러던 2016년 굉장히 간단하게 추측을 정리할 수 있다는 ... ...
- [Bridge] “100명 중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중의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Q. 청소년, 청년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기술을 다뤄야 넓은 분야로 나가는 시대다. 자신의 성향 파악 후 두려워 말고 엔지니어의 길로 과감히 들어오길 바란다 ... ...
- [특집] 위성과 드론, 시민들까지 출동! 식물계절 연구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자연의 데이터를 빠르게 모으기 위한 시민과학 네트워크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어요. 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 위성과 드론까지 활용해 식물의 변화를 관측하고 있답니다.국립수목원 손성원 연구사는 “식물계절 관련 데이터가 풍부할수록 자연 현상을 해석하기 용이하다”며 “데이터를 수집할 수 ... ...
- [과학 뉴스] 암세포만 골라 죽인다! 나노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월 20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분자인식연구센터 정영도 연구원팀이 이끈 공동연구팀은 세포 내에서 포도당 등의 물질을 운반하거나 근육을 움직이는 생체 분자인 단백질의 특징을 모방해 암세포를 죽이는 ‘나노머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나노머신은 세포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 ...
- [기획] 미래 선박엔 탄소 배출도, 선원도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타이타닉호입니다. 이후 대형 선박의 안전에 대한 의식이 커지고, 환경까지 생각한 선박 기술이 등장하며 선박의 모습은 달라지고 있습니다. 과학이 제시하는 선박의 미래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미래 선박엔 탄소 배출도, 선원도 없다?!Part1. [기획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