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여전히 기억하고 있다. 그 날 점심에 어디서 무얼 먹었는지. 국가적 재난은 모든 국민에게 트라우마로 남는다. 재난이 발생한 뒤 진상규명이나 수습과정이 미온할 때 더욱 그렇다. 최근 몇 ... 궁극적으로 간결하고 우아한 법칙으로 해석하는 인간 정신의 놀라운 능력을 실컷 향유해보자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답은 누구나 쉽게 생각할 수 있듯이 곧은 선이다.최단 거리도 굽은 선하지만 잘 생각해 보자. 우리는 지구에 살고 있다. 지구는 둥글다. 평평해 보이는 길이라도 굽어 있다는 말이다. 우리는 위 문제의 답을 곧은 선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굽어 있는 선이다. 지구는 공 같이 생긴 ‘곡면’으로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다리 건너기 문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육지와 육지를 잇는 7개의 다리가 있다고 해보자. 그러면 다음 질문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오랫동안 해결되지 않던 이 문제는 오일러가 위상동형을 이용해 해결했다. 아래 그림을 보면 다리와 강을 기준으로 A, B, C, D 4개의 지역이 있다. 오일러는 각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등 실질적인 배려가 밑바탕이 돼야 한다고도 말했다. 힉스 입자 이야기를 좀 더 해 보자. 힉스 입자를 예측한 두 명의 물리학자가 노벨 물리학상을 탔는데, 입자를 직접 발견한 CERN에서는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아쉽지 않았나.발표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노벨 위원회는 CERN의 공로를 분명하게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과학동아에서 콘돔의 신축성에 대해 읽은 한 어린이 독자가 엄마에게 콘돔에 물을 담아보자고 졸랐다는 일화도 떠올랐다. 다트넬 교수의 얼굴에서 호기심 많은 소년이 겹쳐 보이는 듯했다.그는 본업인 우주생물학 연구를 이어가면서 다음 책도 준비중이다. “과학과 문화가 서로 어떻게 연결돼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생기듯이 예측 불가능한 일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 연구에 이용된 한 연구를 보자. 실험참가자들에게 지극히 평범한 사진들을 보여줬다. 그런데 실험 중간에 갑자기 무서운 사진이 툭 튀어나온다. 사진은 무작위로 나오기 때문에 연구팀조차도 다음에 어떤 사진이 나올지 알 수 없다. ... ...
- Intro. 발암물질로부터 가족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왔다~!”퇴근하신 아빠를 보자 반가운 마음에 현관으로 뛰어나가 볼에 뽀뽀를 해 드렸어. 그런데 이게 무슨 냄새지? 설마 담배 냄새? 나도 모르게 인상을 찡그렸어. 아빠는 집에 오기 전에 손도 닦고 양치도 했는데 어떻게 알았냐며 당황하시네.“아빠! 담배는 피우는 사람은 물론 주변 사람들의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코딩 교육을 하며 1인 1로봇 시대를 내다보는 ‘서큘러스’를 만나보자!“코딩에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는 당연히 필요하지요. 하지만 언어는 도구일 뿐이에요. 도구가 목적이 되는 순간 의미가 사라져요. 무엇을 만들지, 내가 어떤 기능을 구현하고 싶은 건지 생각해야 그에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사울레스 상전이(KT 상전이)와 정수 양자 홀 효과, 홀데인 스핀 고리에 대해 각각 알아보자. 기묘한 물질을 만나려면 우선 고체 덩어리를 깎아 완벽한 2차원에 가깝게 만들어야 한다. 원자 한 층짜리 고체를 만들었다고 치고, 이번엔 온도를 조금씩 높여본다. 모든 고체와 마찬가지로 2차원 고체 역시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도 늘어난다.2008년에 등장해 컴퓨터 수백만 대를 감염시킨 웜 ‘컨피커’를 예로 들어보자. 카스퍼스키랩 소속 연구원 알렉스 구스타브는 “컨피커로 컴퓨터 500만 대를 감염시켜 탄생한 봇넷은 24시간 내에 스팸메일 4000억 통을 보낼 수 있다”고 미국 IT 전문 잡지 ‘컴퓨터월드’를 통해 밝혔다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