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개리 카르발호 교수팀은 형질 변화에 영향을 주는 생태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을 분리하기 위해 구피(Poecilia reticulata)를 3세대 동안 다양한 포획 조건에 노출시켰다. 성체 크기와 유전자군 변화를 측정한 결과, 수컷 구피의 몸체 크기를 결정하는 유전자들이 염색체 상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변화가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미세유체제어(microfluidics) 기반 바이오칩. 극미량의 시료만 있으면 전처리, 혼합, 반응, 분리, 분석 등 실험의 전 단계를 하나의 칩 위에서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랩 온어 칩의 가장 큰 특징은 분석 시간이 짧고 시료가 적게 든다는 점이다. 응급 상황 시 환자의 상태를 랩온어 칩으로 대략 파악하고 ... ...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모블로는 수학이나 한자 수업, 소프트웨어 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다. 블록을 합치고 분리하며 숫자에 대한 개념을 가르치거나 마법천자문 캐릭터와 함께 6~8급에 해당하는 한자를 배우는 수업이 그 예다. 체험하는 학습과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학습, 어느 하나라도 놓치고 싶지 않다면 모블로에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답니다. * 플라즈마 : 아주 높은 온도에서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 상태.100만 분의 1 오차도 잡아낸다!지난 4월 28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우리나라에 있는 국가질량원기의 질량이 달라졌다고 발표했어요. 국가질량원기란 1kg의 기준이 되는 물체를 말해요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지진광이 나타나는 것은 지하에 있는 특정 광물이 힘을 받으면서 전자가 한꺼번에 분리돼 대기권으로 나오기 때문이에요. 번개가 치는 것처럼 순간적으로 전류가 강하게 흐르면서 섬광이 나타나는 것이랍니다. 아래 사진은 1970년 대에 캐나다에서 찍힌 지진광이에요. 이 근처에서 1973년 7월 1일 규모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전통의학연구원 투 유유 교수는 말라리아 퇴치에 탁월한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을 분리해낸 공로로 영광을 안았다. 독립적으로 진행된 연구지만, 제3세계의 기생충 퇴치에 혁혁한 공을 인정받아 함께 상을 받게 됐다. 흥미로운 점은 두 약물이 모두 화학적으로 합성한 것이 아니라 자연에서 ... ...
- 프랑스 보석 관리인 ‘ 다이아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듯한 쪽지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었다.‘이 반지 세 개 중 하나만 끊어서 반지를 분리해라. 그래야 반지 피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단 기회는 단 한 번뿐. 이를 어기면 전시장 전체가 폭발하게 된다!’썰렁홈즈, 반지값을 물어야 할 처지?무사히 사건을 해결한 썰렁홈즈. 두둑한 보상을 ... ...
- [과학뉴스] 3만 년 전 바이러스, “기상~!”과학동아 l2015년 10호
- Mollivirus sibericum, 사진)’이라고 지었다.인류가 선사시대의 바이러스를 발굴해 온전히 분리한 것은 이번이 네 번째다. 연구책임자인 장 미셸 클래버리 연구원은 “아주 약간의 바이러스 입자만 있어도 숙주인 아메바를 감염시켜 병원균을 부활시킬 수 있다”며 최근 영구동토층에서 원유 등을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하빌리스가 아시아로 확산해 거기에서 호모 에렉투스와 플로레시엔시스 조상으로 분리됐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인류의 아시아 기원설이 탄력을 얻게 되는 셈이다.2. 최초의 도구 사용, 오스트랄로피테쿠스?오랫동안 최초의 호모 속 인류로 꼽히던 종은 호모 하빌리스다. 이에 반해 호모 ...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달처럼 움푹 패인 구멍이 많아요. 콜라에 있던 색소 물질이 활성탄의 구멍에 달라붙어 분리된 거예요.이어서 여과과정을 볼 수 있는 간이정수기 만들기에 도전해 보았어요. 우선 깔대기에 자갈과 모래, 활성탄을 순서대로 담고 층층이 쌓은 뒤, 이물질이 많이 들어 있는 물을 천천히 따랐어요. 그러자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