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조
대비
견줌
비유
비김
비교분석
분석
d라이브러리
"
비교
"(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아니다. 연못 위로 내리는 눈은 단열효과가 뛰어나다. 그래서 연못 주변의 공기는
비교
적 따뜻한 바닷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차갑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연못은 빠르게 얼어붙고 그 위로 눈이 쌓인 것이다. 이렇게 쌓인 눈은 연못물보다 훨씬 색이 밝기 때문에 더 많은 에너지를 반사해서, 그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다수의 한국인 직원 이력서를 학습한 AI는 한국인 지원자를 판단할 때는 합격 기준선이
비교
적 합당하게 설정되지만, 외국인 지원자에 대해서는 몇몇 외국인 직원의 이력서 데이터로만 학습한 탓에 그 기준선이 비합리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등한 능력을 지닌 지원자임에도 한국인은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인간의 세포와 유전자 조작 소에서 채취한 항체로 만든 치료제의 효과를
비교
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유전자 조작 소에서 유래된 항체 치료제가 사람의 피에서 유래된 항체 치료제보다 항체의 농도가 4배 더 높았어요. 항체의 농도가 높을수록 치료가 성공할 확률이 높아지고 만들 수 있는 백신의 ... ...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AI가 스스로 가중치를 조절하는 방법이에요. AI가 내놓은 출력값과 미리 알고 있던 정답을
비교
해 오차가 작아지도록 계산 과정을 되짚어가면서 가중치를 최적의 값으로 바꾸는 거죠.이 방법을 통해 인공신경망 기술은 첫 번째 침체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신경망을 형성하는 층이 많고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종이 사라지는 연쇄효과가 나타나 전 생태계가 흔들려요. 이를 ‘도미노’나 ‘젠가’에
비교
하기도 해요. 단적인 예가 ‘도도새’와 ‘도도나무(Sideroxylon grandiflorum)’예요. 1977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생태학자 스텐리 템플 박사는 모리셔스에서 도도나무를 발견했어요. 13그루만이 남았었고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놓고 원주율을 구하면 이집트인들이 사용한 원주율은 ‘3.1604…’가 됩니다. 다른 문명과
비교
하면 놀라울 정도로 정밀한 결과였죠.약 1600년의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이를 뛰어넘는 계산 결과가 등장합니다. 그 주인공은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였던 시라쿠사(현재 이탈리아 시칠리아섬)에서 태어난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약 0.96km에
비교
하면 굉장히 빠르죠? 차세대중형위성은 정밀 지상관측이 임무이기 때문에
비교
적 가까운 저궤도(250~2000km)에서 지구를 관찰합니다. 지구와 가까울수록 중력이 커지기 인공위성이 낙하하지 않기 위해서는 그만큼 더 빠른 속도로 움직이며 구심력을 커져야 하죠. 반면에 더 높은 궤도에 ...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운행자보다 제조자가 교통사고를 보다 적은 비용으로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비교
는 공리주의적 관점의 특징입니다.학생 E 생각해보니 데이팅 앱 사건의 경우에는 법적으로 해를 입은 사람이 없으니 자유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규제할 수 없겠네요. 하지만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는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다양한 분야의 시민과학 프로젝트가 진행됐지만 아직 연구의 질과 양은 해외 선진국과
비교
하면 부족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과학 대중화와 미래 과학자 양성에 중요하다고 설명한다.박 교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일반 시민들이 ... ...
기후위기의 마지노선, 심해가 끓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추가돼 심해에 저장된 막대한 양의 열에너지가 방출되기 위해서는 바다 표층이나 대기와
비교
해 오랜 기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심해 수온 상승에 따른 생태계 변화는 기후속도(Climate velocity)를 통해 알 수 있다. 기후속도는 기후변화에 따라 생물 종의 서식지가 이동하는 속도를 의미한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