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유물
물건
물체
목표
대상물
객관
객체
d라이브러리
"
사물
"(으)로 총 1,092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마스에 받고 싶은 과학선물20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누웠다 일어날 수 있다. 음파 센서가 있어 사람의 말에 반응하고 적외선 시각센서로
사물
과 색깔을 구별한다.로보랩터www.roboraptoronline.co.kr가격 18만원.로보랩터는 백악기 공룡 ‘벨로시랩터’를 모델로 만든 로봇. 실제 공룡처럼 걷고 뛴다. 꼬리와 턱, 혀에는 터치센서가 장착돼 사람의 손길에 ... ...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사고가 생겼다. 배율은 4200배다. 모기의 겹눈은 수많은 6각형의 낱눈이 모인 것으로
사물
을 모자이크 무늬처럼 인식한다. 겹눈은 앞과 뒤, 옆을 동시에 볼 수 있어 다가오는 적이나 움직이는 먹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유채꽃진미주·경북대 생물학과 (입선)유채꽃이 가득 피어난 봄날 제주도의 풍경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것만으로 그 견본에 관련된 역사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었다 덴튼 박사는 이 내용을 '
사물
의 혼'(The Soul of Things)이라는 책으로 출간했다 엄밀하게 말하면 사이코메트리는 어떤 물질적 대상을 매개로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 ...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프라이버시는 사라졌다. 안전한 것은 머리 속에 있는 것뿐이다.”1998년 개봉된 영화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에는 이런 대사가 등장한다. 휴 ... 도청 : 가장 고전적이고 초보적인 도청 방법이다. 특정 위치에 마이크를 숨기거나 다른
사물
로 위장해 설치한 뒤 증폭기를 이용해 엿듣는다 ... ...
문학의 강에서 과학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벌 나비 주둥이를 쥐고 놓아주지 않는 꽃들은’이 교수는 이 시가 “나무를 정적인
사물
로 보는 착각이나 편견을 경계하고 그것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정적으로 보이는 나무의 역동성을 생물학적인 지식에 근거해 노래함으로써, 과학이 수박 겉핥기식 사고의 관성을 깨뜨리고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수치 렌즈의 초점거리를 망원경의 유효구경으로 나눈 값이다 f수가 1이면 사람눈이
사물
을 보는 밝기다 f수가 커지면 렌즈는 어두워지며 반대로 f수가 줄어들면 렌즈는 밝아진다 망원경의 경우는 f수가 고정돼 있으나 카메라는 변화가능하다 조리개를 좁혀서 f수를 2배, 3배로 하면 상의 밝기는 1/4, 1/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작품으로 ‘
사물
의 기본은 수’라는 개념을 잘 묘사하고 있다”고 설명한다.김 박사는
사물
을 이해하는 또 다른 기준을 ‘도형’에서 찾는다. 피타고라스학파는 정오각형에 대각선을 그려 별 모양의 도형을 만들어서 자신들의 배지로 사용했다. 또 육각형은 해바라기와 벌집 모양에서 눈송이에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기능을 한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 편도체는 지금도 부지런하게 세상 사람들과 다양한
사물
에 대한 평가를 하고 정보를 모으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정보들은 사람이 성장하면서 성격과 자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재료가 된다. 따라서 공포감을 형성하는 신경회로를 심도있게 연구하면 우리 뇌가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또 장파장인 붉은 색은 다른 색에 비해 초점이 망막보다 조금 뒤쪽에 맺힌다. 붉은 색의
사물
을 정확히 보려면 초점이 망막 위에 맺히도록 수정체를 조금 두껍게 만들 필요가 있다. 수정체를 두껍게 하기 위해서는 수정체를 조절하는 눈 근육이 더욱 긴장을 해야 하고 오랜 시간 이런 상태로 있게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잘 보이지 않으나 오히려 방향성 지도는 잘 나타난다. 두더지가 원숭이나 고양이에 비해
사물
의 윤곽을 인식하는 뉴런들이 더 발달했다는 얘기다.포유류의 시각지도가 왜 서로 다른 무늬를 나타내는가는 매우 흥미롭고도 중요한 연구주제다. 1차 시각피질의 뇌지도는 동물이 태어나서 시각경험을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