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d라이브러리
"
오늘날
"(으)로 총 2,71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제시한 안드레이 린데 미국 스탠퍼드대 물리학과 교수가 묘사한 포도송이 모양(위)이다.
오늘날
에는 테그마크 교수가 ‘빵 속 기포’라고 묘사한 형태로도 많이 표현된다.]특징 물리법칙이 다른 ‘딴세상’ 우주2단계는 우리 우주와 다른 물리법칙의 지배를 받는, 우리와 전혀 다른 다중우주가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양쪽의 형질을 함께 갖는 신품종을 만드는 방법도 교배육종에서 자주 쓰는 기술이다.
오늘날
절화용 장미는 사계절 내내 꽃이 핀다. 시장에 내놓기 위해 꽃을 자르면 계절과 상관없이 60일 후 새로운 꽃이 올라온다. 그런데 장미가 처음부터 이랬던 것은 아니다. 다른 장미를 사계절 꽃이 피는 중국의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퀘이사 관측을 통해 α 값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그때만 해도 웹은 우주 초기의 α값이
오늘날
과 같을 것이라고 가정했다.첫 번째 연구에서 놀랍게도 α가 아주 작긴 하지만 다른 값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이 128개 퀘이사의 스펙트럼을 조사했더니 α 값이 120억 년 전부터 60억 년 동안 조금씩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이다. 우주가 4000℃ 정도로 식으면서 나온 빛이
오늘날
마이크로파로 변한 게 우주배경복사다. 이 빛의 분포를 관측하면 별도 태어나지 않은 초기 우주의 모습을 연구할 수 있다. 2010년 7월에는 임무 시작 이후 처음으로 전체 하늘의 관측 영상을 공개했다. 현재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전혀 다른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것. 처음에는 골치 아프게 됐다고 생각했지만 결과적으로
오늘날
윤 교수가 있게 된 출발점이 됐다.“특정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비교해 우리나라에 있는 갈조류(미역, 다시마 등)에 대한 분류학 체계를 세우는 연구였습니다. 그 결과는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것을 브라유가 시각장애인용 글자로 이용한 것이다. 브라유가 10년 동안 연구한 끝에
오늘날
사용하는 점자가 완성됐다.궁금증 2 점자의 점은 왜 6개일까?점자는 일반적으로 6개의 점으로 이뤄져 있다. 점의 개수가 6개인 것이 수학적으로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언어는 20개에서 30개 사이의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유리잔 등에 지문이 있으면, 그것으로 범인의 신원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썼다.
오늘날
범죄수사에서 지문이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선견지명이 있는 코멘트다.물론 폴즈의 예측이 다 옳았던 건 아니다. 그는 논문에서 “일본 사람들의 지문을 많이 확보했고 현재 다른 나라 사람들 것도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잔해가 휘는 대신 부서져 있었다는 것이다. 외벽을 이루는 철판의 화학 성분도 분석했다.
오늘날
사용하는 표준 저탄소강과 성분은 대체로 비슷했다. 가장 차이가 나는 성분은 망간 대 황의 비율이었다.황은 철의 결합을 약하게 만들어 균열이 생길 가능성을 높인다. 망간은 황과 잘 결합해 철이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 있도록 깎아 빛과 빛끼리 마주쳐 더욱 찬란하게 빛나도록 세공하는 브릴리언트 컷은
오늘날
가장 비싼 사랑과 영원의 증표가 됐다. 이 증표에 전쟁과 폭력, 음모, 협박 등 인간의 탐욕이 낳은 역사와 과학이 얽혀 있다.최근 국내 한 대형 백화점이 결혼비용, 혼수 등에 관해 예비 신혼부부를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유명하다. 이 이야기의 진위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치즈의 역사가 오래된 것은 분명하다.
오늘날
치즈를 만들 때는 먼저 우유를 살균한 뒤 ‘렌넷’이라는 효소와 유산균을 넣는다. 렌넷은 소나 양의 위에서 나오는 효소로 우유의 단백질을 굳게 만든다. 위의 아라비아 상인 이야기에서도 우유가 양의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