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마찬가지"(으)로 총 1,0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있다. 그 위에는 막대가 시계바늘처럼 회전운동 중이다. 막대 역시 아래 깔려있는 길과 마찬가지로 털실로 짠 것처럼 꼬불꼬불하다. 꼬불꼬불한 것의 정체는 DNA다. 독일 뮌헨 공과대학 물리학과 엔조 코퍼거(Enzo Kopperger) 박사 연구팀은 염기서열에 따라 스스로 조립하는 ‘DNA 오리가미’ 기술로 2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가해지게 되면 모든 계란이 한꺼번에 깨지기 때문이다. 연구들에 의하면 자존감도 마찬가지다. 좋은 엄마, 실적 좋은 회사원, 뛰어난 연구자 등 무엇 하나가 무너지면 나라는 사람 전체가 와르르 무너진다는 예언은 금물. 자신의 상상을 통해 실현되어 버린다. (사진=pixabay) 자기 개념(self-concept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등장하지 않는다. 이처럼 덩치가 크지 않고 민첩한 동물들은 개가 혼자 사냥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개를 쫓아가기에 바쁜 사냥꾼은 개가 목을 물고 있는 사냥감에 다가가 명줄을 끊는 ‘마무리’를 하는 게 고작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10_정말 사자도 사냥했을까?] 사냥꾼과 개 두 마리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2018.01.02
- 유지하는데 경계도 비교적 뚜렷하다. 즉 경계 영역의 밀도차가 가파르다는 말이다. 마찬가지로 우유에 에스프레소를 조심스럽게 따를수록 경계 영역의 밀도차가 가파르게 된다. 이 경우 온도차로 유리잔에 가까운 액체가 식으며 밀도가 높아져 내려갈 때 얼마 못가 부력으로 막힌다. 그 결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백인 중년층의 퇴행은 일상생활이 무너진 결과라는 얘기다. 우리나라도 불길한 건 마찬가지다. 지난 11월 2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16년 건강검진통계연보에 따르면 담뱃값 대폭 인상으로 떨어졌던 성인 흡연율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고 비만율(BMI 25 이상)도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특히 3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2017.09.26
-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꾸준한 노력, 즉 끈기 역시 타고난 재능이라는 말이다. 외모와 마찬가지로 성격도 상당 부분 유전된다는 걸 감안하면 틀린 말도 아닌 것 같다. 돌이 갓 지난 아기도 어른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며 끈기의 중요성을 깨닫는다는 사실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2017.08.29
- 여전히 남성의 비율이 꽤 높다. 글을 보니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도 마찬가지다. 흥미롭게도 저자 두 사람 가운데 여학생이 70%가 넘는 심리학과의 교수인 심피언은 남성이고 30% 수준인 철학과의 교수인 레슬리는 여성이다. 두 사람은 수년 전 한 학회에서 만나 담소를 나누다 우연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2017.07.25
- 경로와 온도감각 경로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초파리의 더듬이에서와 마찬가지로 습도가 선충 피부의 큐티클층의 수화 정도(팽창)와 수분의 증발에 따른 냉각 속도에 영향을 미친 결과라는 말이다. 기계감각의 경우 FLP 뉴런을 통해 전달되는데 여기에 세 가지 단백질(ASIC-1, MEC-10, MEC-6)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2017.07.18
- 우리 뇌가 영어 단어를 외우고 수학 문제를 풀라고 진화한 건 아니다.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먹이를 찾고 짝을 만나 자손을 보는 과정에서 필요한 여러 행동을 잘 해낼 수 있게 진화한 것뿐이다(다만 몸이 약하므로 다른 동물들보다 머리를 더 써야한다). 적응 능력 모형에 따르면 일상에서 이런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흔히 푸른턱수염 효과로 불리는데, 좀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겠습니다. 인간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곳에 살고, 같은 방언을 쓰며, 같은 피부색에, 같은 습관과 배경을 가진 사람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그렇지 않은 사람, 즉 ‘다른’ 사람은 싫어합니다. 이는 부정할 수 없는 본성이지만 또한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