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스를 대신하는 유틸리티 피시셸(PC SHELL)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읽을 수 있는 파일인가를
확인
해준다. 바이트가 깨져 접근이 불가능한가 아닌가를
확인
하기 위해 이 기능을 사용한다.파일목록인쇄(print file list)-선택된 드라이브의 파일을 인쇄해준다.삭제파일 복구(undelete file)-삭제된 파일을 복구하는 기능이다. 디스크에서 파일이 삭제된 후 다른 파일이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이들은 지구에서 발사되는 여러가지 전파음을 해독해 지능을 가진 생물체가 존재함을
확인
하고 지구에 접근한다. 지구에 다가오면서 푸른 지구의 모습에 감탄하게 되지만 운동경기 장면을 보고 지구인들이 과격하다고 생각해 다시 금성으로 향한다.외계 우주선은 금성에 다가가지만 뜨거운 열과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근육이 잘 발달한다는 사실도 우리는 알고 있다.그러나 마음의 힘, 마음의 능력은 눈으로
확인
하기가 쉽지 않다. 그것이 어떤 모양으로 어떻게 들어 있는지도 잘 모른다. 어느 정도 한계가 명확히 드러난 인간의 육체적 능력과는 반대로 마음의 능력, 즉 지능으로부터 비롯되는 인간의 힘은 ... ...
메소포타미아 농업 기원설에 반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대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을 활용, 그 연장들이 2만8천년 전에 만들어진 것임을
확인
했다. 또 호주국립대학의 토마스 로이는 이 연장의 표면을 현미경으로 조사해 미세한 전분알갱이와 길고 날카로운 속정(束晶, 식물의 점액세포 내에 있다)을 찾아냈다.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한 속정은 쐐기풀과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된다.이 두 달의 크기 차이는 12% 정도이므로 2백mm급의 망원렌즈로 촬영해도 크기 차이를
확인
할 수 있다. 1천mm 이상의 망원경으로 직초점 촬영하면 훌륭한 사진이 될 것이다.■별을 먹는 달(성식)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을 일식이라 하고 별을 가리는 현상을 성식이라 부른다. 달은 시직경이 30′(분 ... ...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바로 buffer(완충지대라는 뜻)공간이다. 버퍼는 모든 컴퓨터에서 작동되고 있다. 이를
확인
하는 것은 간단하다. 우선 dir이라는 명령을 한번 내려보자. 수행되는 속도를 주목하면서. 다시 한번 dir 명령을 내려보자. 두번째 dir 명령을 내렸을 때 보다 빠르게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을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팀에 의해 발견된 펄사(pulsar)는 그 전까지 이론만으로 존재했던 중성자 별을
확인
할 수 있게 하였으며, 펜지아스(Penzias)와 윌슨(Wilson)에 의해 발견된 절대온도 3도의 우주배경복사 역시 우주팽창설의 직접적 증거 제시로 충분한 것이었다. 한국의 전파 천문학전파 천문학이 천문학의 중요한 한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본격적인 관측을 위해서는 천체를 대상으로 다시 주망원경과 파인더를 번갈아 가며
확인
해 양쪽이 일치하도록 완벽히 조정해야한다. 극축 맞추기(adjustment to pole) (그림 3)에서 적도의의 원리를 보면 적경축이 지구의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망원경의 시야에 어떤 별을 ... ...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마련했다. 실제로 저자를 모르는 중요 문서에 대한 어휘 통계적 분석으로 그 저자를
확인
할 수 있었던 예도 있다. 이밖에도 현재 컴퓨터의 기술적 발전으로 가능하게 된 방대한 규모의 코퍼스를 이용해 언어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언어학과 컴퓨터과학의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소리를 자음이라고 한다.자음은 입 안의 어느 점에 장애가 있어서 쉽게 위치를 느끼고
확인
할 수 있으나 모음은 장애를 받지 않아 소리의 경계가 분명치 않고 조음점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분석하기가 더 어렵다. 모음은 혀의 높이, 혀의 전후 위치, 입술 모양의 세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혀의 ... ...
이전
757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