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085건 검색되었습니다.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
2017.03.12
질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시나리오 말고 실제로 한 여성 참가자(실제로는
실험
자의 조력자)의 ‘상사’가 되어 함께 일하는 상황(채팅으로 여러 평범한 문장들 및 성희롱 문장들 중 몇 개를 골라 여성에게 외우도록 시킴)에서는 이들 남성이 여성에게 더 높은 빈도로 ‘오늘 밤에 나랑 ... ...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
과학동아
l
2017.03.11
탈금속반응이 수십 μs의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것을 알아냈다. 일반 용액(약 1mL)으로
실험
한 결과에 비해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엽록체를 보호하고 광합성 효율을 조절하는 산화방지반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쿼틀리 리뷰스 오브 ... ...
[영상] 주기율표 속에 담긴 비밀
2017.03.10
우라늄까지는 별의 핵융합으로 만들어져 지구로 전해졌지만 나머지 26개 원소는 사람이
실험
실이나 원자로에서 합성한 것입니다. 그런데 비슷한 위치의 원소들끼리는 왜, 비슷한 성질을 띠는 걸까요? 1869년 주기율표를 발명한 러시아의 화학자 멘델레예프는 원소들을 상대적인 질량(원자량) ... ...
‘킹콩’을 유전공학으로 만들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10
상상의 동물이다. 킹콩은 가상의 고립된 섬에서 독자적으로 진화했으며, 고질라는 핵
실험
에 따른 유전자 변이로 생겨났다는 그럴듯한 설정을 갖고 있다. 이런 동물이 현실에 등장할 가능성은 과연 있을까. ●유전공학 동원하면 ‘킹콩’ 만들 수 있을까 생명과학 전문가들은 자연 상태에서 킹콩 ... ...
당신이 SNS를 하는 이유는 ①공유 ②자랑 ③외로움 중 무엇?
동아사이언스
l
2017.03.09
관계를 맺는 SNS를 많이 할수록 더 외롭다고 느끼다니, 참 아이러니한 결과입니다. 게다가
실험
참가자들이 스스로를 평가한 결과가 3배나 더 외로운 것이니 복잡한 심리상담을 통해 내면에 숨겨진 외로움까지 더해진다면 SNS 헤비 유저의 외로움은 더 클 수도 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엘리자베스 ... ...
[카드뉴스] 새콤달콤 과일 처방전
동아사이언스
l
2017.03.09
유자 말린 유자가루를 전립선암에 걸린 쥐에게 먹이자 암세포 성장이 억제되었다는
실험
결과도 있었는데요. 유자 껍질에 많은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다고 하네요. 복숭아, 바나나, 배 흰색이나 옅은 노란색을 만드는 색소인 안토크산틴은 바이러스에 대한 신체 저항력을 키워 ... ...
사드 국내 배치 시작...중국은 왜 그토록 꺼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3.08
따르면 2005년부터 2012년까지 15회 중 11번 성공했다. 4번은 요격 실패가 아니라
실험
취소였기 때문에 요격 성공률은 100%로 볼 수 있다. 사드는 특히 높은 고도에서 미사일을 요격한다고 해서 국내에선 흔히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라고도 불린다. 적국이 높은 하늘까지 치솟았다가 적국 주요 ... ...
입양아의 기억 속엔 한국어가 남아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8
참여했겠지만 아마 같은 한국인이라는 점도 경계심을 풀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험
이 끝난 뒤 최 박사는 입양인의 집에서 빈대떡이나 비빔밥 같은 한국 음식을 해주며 한국 문화를 교류했다. 한국에 돌아온 뒤에는 한국 도장이 찍힌 엽서를 보내며 한국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간직할 수 있게 ... ...
국내 발생 AI 바이러스, 인체감염 위험성 매우 낮아
포커스뉴스
l
2017.03.07
관련된 주요 변이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질본 관계자는 “지금까지의 동물 감염
실험
및 유전자 특성 분석 결과를 볼 때, 현재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H5N6형 및 H5N8형 AI바이러스와 야생조류에서 확인된 H7N9형 AI 바이러스가 조류에서 직접 사람에게 감염될 위험성은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다만 ... ...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03.07
쓰레기통을 구해 400L의 물과 미세입자를 넣은 뒤 1분당 75회까지 회전 속도를 높여서
실험
했다. 이때 원심력에 의해 물의 표면이 포물선 모양으로 휘어졌다. 여기에 쓰레기통 바닥에 설치한 14개의 펌프로 물을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여섯 개의 서로 다른 흐름을 만들어 목성의 대기와 같은 형태를 ... ...
이전
757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