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서 조명·눈의 피로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있으나 독서를 하는데는 어느것이나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만 김
박사
는 몇시간씩 오랜동안 계속 독서를 할때는 밝기가 2백∼5백 룩스가 좋으므로 책상위에 탁상전등으로 백열전등 60W짜리 하나나 형광등 20W 하나를 켜는 것이 적당하며 시야 주변을 어둡게 하는것이 눈의 ... ...
동아시아인에 가장 흔한 위암 일본은 어떻게 극복했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하기 때문이다. 미래의 내시경은 섬유다발을 사용치 않는 것이다. 암센터의 '이케다'
박사
가 개발한 카메라(NHK방송국과 '펜탁스'의 협력을 얻음)는 1.7㎝의 크기에 60g밖에 안되는 극소형으로 이 카메라는 형상을 숫자신호로 바꾸며 이 신호는 TV스크린에 옮겨지도록 고안되었다. 이 혁신적인 카메라는 ... ...
컴퓨터와 교육 컴퓨터 선생님은 훌륭하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CBE시스템 연구는 미국'일리노이'대학에서 1959년 착안되어 그 이듬해부터 '도날드 비처'
박사
의 지휘아래 연구개발이 시작된 PLATO(Programmed Logic for Automatic Teaching Operations)시스템이 최초이다. 1967년에 이르러 본격적인 연구와 보급이 이루어져 같은 해에 'TUTOR'이라는 '저자 언어(A ...
성능좋은 인공무릅관절, 실험에 성공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의족환자실험에서 의사들은 매우 고무적인 성과를 봤다고 평가했다. '빌 로버츠'
박사
(물리학) 와 엔지니어링 컨설턴트인 '폴 화이트'에 의해 주도된 연구진은 의학 및 기계적측면에서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혁신적설계를 개발한 것이다. 이 인공무릅은 이미 있는 자연의 뼈조직을 최대한 살리면서 ... ...
머리가 좋다는 것은 어떤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쓸데없다는 것을 주장하는 학자로'두뇌가 좋아진다'의 저자인 교육심리학자 '윈 웬거'
박사
가 있다. 그의 설과 단련법의 상세한 내용은 책을 읽어야하겠지만 여기서는 요약해서 소개한다. 그의 설에 의하면 인간의 뇌는 어류에서 발달한 1차원뇌(연수·延髓)에서 양서류의 2차원뇌(橋腦), 파충류의 ... ...
남극관측탐험대 개선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생성 연도를 살피는 빙정학(氷晶學)분야도 모두 주마간산 정도일 수 밖에 없었다.최효
박사
도 "앞으로 영구기지를 설치하여 여유있게 연구 관측할 수 있게 되기를 기원하면서 아쉬움을 달래었다"고 말했다 ... ...
박테리아의 세포침입 포착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열쇠는 단 한개의 유전자. 미국 스탠퍼드대학의 '랄프 이스버그'와 '스탠리펄코'
박사
는 적어도 이번 관찰에서 한개의 유전자가 모든 일을 해치웠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매우 놀랐다고 말했다.그 과정을 보면, DNA조각이 박테리아의 표면에 대량의 단백질을 생산하게하는데 이 단백질이 박테리아와 ... ...
성장 촉진제, 사회적난장이 키우나?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가운데 70명이 아직도 결혼을 않고 늙은부모나 형제와 함께 살고 있다는 것이다. '딘'
박사
는 이렇게 사회적성취가 늦은 원인은 호르몬치료를 받는동안 부모나 친척에대한 의존심이 높아졌고 아무래도 다른 사람보다 고립된 생활을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그는 또 직업을 구하거나 배우자를 찾으려는 ... ...
과학기술발전 장기계획을 말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국내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중 3백에서 5백명 규모로 해외훈련을 시킬 예정입니다. 이미
박사
학위를 딴 사람들을 외국의 우수한 대학,기업,연구소에 파견해 최신 이론과 기법에 뒤떨어지지 않도록 할 것입니다. 아울러 민간기업의 두뇌유치 사업도 적극 지원해야겠지요. 조세혜택이나 다른 유인책이 ... ...
경험이 축적되는 환경을 가꾸자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수 없었던 이유를 규명하고 이를 시정하는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몇만명의
박사
를 양성하고 수천억의 연구비를 투입하여도 21세기의 꿈은 실현불가능 할것이다. 과학기술 발전의 결과로서 우리가 기대하는 것 중의 하나가 산업의 발전임은 말할 것도 없다. 좋은 공업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기 ... ...
이전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7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