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팝콘 냄새가 나는 동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돌아가야 해요. 많은 사람들이 빈투롱을 애완용으로 키우려고 욕심을 내는 바람에 최근 30년 동안 전체의 30%에 달하는 빈투롱들이 모습을 감췄답니다. 또한 최근에는 빈투롱이 사는 숲 지역이 개발되면서 빈투롱들이 살 수 있는 나무가 부족해 더 큰 위협을 받고 있지요. 리디아 그린 교수는 저를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행복이가 불만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셋이서 케이크를 나눠 먹는 방법은 1960년대 미국의 수학자 존 셀프리지와 영국의 수학자 존 콘웨이가 비슷한 시기에 독자적으로 발견한 방법이 있습니다. 흔히 ‘셀프리지-콘웨이 방법’이라고 부르는데, 케이크를 최대 6조각으로 나누고 칼질은 최대 5번 ... ...
- PART 1. 악마가 좋아하는 소수는?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큰 세 자리 회문 소수야. 겨우 세 자리 회문 소수를 찾는 걸로 엄살 피울 생각하지 마. 2014년에 발견된 가장 큰 회문 소수는 무려 47만 4501자리였거든!” 악마의 사인천사의 눈앞에 해골이 나타나더니 깔보는 말투로 천사를 비웃었어요.“여기 온 걸 보니 벨페고르가 낸 문제를 풀지 못했나 봐? ... ...
- [소프트웨어] π를 부탁해!수학동아 l2016년 09호
- 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 자르투가 원주율의 첫 세 숫자를 따서 만들었어요. 1987년 물리학자 래리 쇼가 미국 샌프란시스코 과학관에서 π-데이 행사를 시작하면서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됐어요.7월 22일은 ‘π 근삿값의 날’이에요. π와 가장 가까운 분수가 22/7=약 3.1428571429이거든요. 이처럼 ... ...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소설가들을 조심해야 한다. 그들이 하는 어떤 말은 나중에 사실이 되기도 하니까.10여 년 뒤. 사람들은 유산균으로 대표되는 장내미생물의 기능에 집착하고 있다. 장내미생물은 과학 뉴스의 단골 소재가 됐다. 뉴스 속 장내미생물은 못하는 게 없다. 비만도 치료하고 우울증도 고치며 면역에까지 ... ...
- [과학뉴스]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Plant Biotechnology Journal)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함유된 황금 쌀이다. 이 연구는 당시 저널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2013년에는 현미에 암과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성분이 백미에 비해 3배 이상 많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올해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아세톤을 만드는 박테리아를 발표했다 ... ...
- [과학뉴스] 제5의 힘, 존재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입자가 있다고 ‘피지컬 리뷰 레터’ 8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밝힌 입자는 1년 전 헝가리 실험물리학자들이 발견한 입자다. 당초 이들은 암흑물질을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는데, 암흑물질이 아닌 전자보다 약 30배 무거운 입자의 흔적을 포착했다. 하지만 이 입자가 어떤 성격을 가진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바나나 나무가 죽었다. 하지만 해충에 저항성이 있는 GMO 바나나 묘목을 제공한 지 2년만에 2배 이상의 바나나를 생산했다(‘상업화된 유전자변형 농산물에 대한 세계적 관찰’, 1998년, 미국 코넬대).이와 유사하게 해충은 고구마나 감자의 생산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19세기 중반, 아일랜드에서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잭슨의 노래가 장속 깊숙한 곳으로부터 들려오는 듯하다!).장내미생물이 최소 1500만 년 전부터 쭉 인간과 동거해왔다는 사실을 밝힌 것도 이번 연구의 큰 소득이다. 불필요한 장내미생물이 이토록 오랜, 배타적인 공생관계를 유지할 필요는 없었을 터다. 아직 다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장내미생물이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방식은로널드 피셔, J.B.S 홀데인과 함께 현대적 종합을 이끌었던 슈얼 라이트가 1922년에 처음 고안했다. 라이트는 이를 ‘관계 계수(coefficient of relationship)’r이라 칭하고 그 값을 쉽게 구하는 방법도 제시했다.예를 들어, 엄마와 자식 사이의 r을 구해보자. 자식의 몸 속에 있는 어느 한 대립유전자가 ... ...
이전7597607617627637647657667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