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유리잔에 묻은 지문 채취하기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윤곽을 만들게 되고, 갈색 무늬가 특징적으로 나타나 지문을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실험
방법1. 지문이 묻어 있는 종이의 부분을 오려둡니다.2. 요오드 결정 약간을 플라스크에 넣고3. 요오드가 기체로 될 때까지 가열합니다. 이때 요오드 증기를 마시지 않도록 주의하세요.4. 집게를 사용해서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류큐(琉球)대학 히가테루오(比嘉照夫) 교수가 10여년의 연구끝에 1982년 완성, 그 후 실증
실험
을 거쳐 1990년부터 미국 브라질 태국 등 동남아 각국에서 호평받으며 급속히 보급돼가고 있다. 현재는 프랑스 등 유럽지역에서도 시험재배중이다.양질의 농산물 다수확 가능EM배양액중에는 10속80여 종의 ... ...
백악기 절멸기에도 거의 모든 곤충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들어 농학자들은 살충제 내성을 가진 신종 곤충들이 많이 만들어지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실험
에 따르면 하와이 제도에 서식하는 어떤 나비는 다른 종으로 분화하는 속도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한다.그러나 최근 사이언스지에 다르면 곤충의 적응능력은 강인한 내구력과는 그다지 관계가 깊지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세계를 지배하는 진리임이 틀림없다. 물리학의 세계에서는 이론으로 예언된 사실이
실험
으로 검증되면 가장 확실한 지식이 되는 것이다. 반수소를 만들자여기서 더이상 소립자의 세계에 머물지 말고 일상적인 세계로 돌아와 보자. 반입자의 존재가 확인됐으므로 본격적인 반물질을 만들 수 있지 ... ...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다음, 그 전좌부의 길이를 현미경으로 측정하면서 전좌부에 있는 유전자의 위치를
실험
적으로 결정하였다. 이와같이 염색체를 조사해서 만든 염색체 지도를 세포학적 염색체 지도라고 한다.또 페인터는 초파리 침샘 염색체 특유의 가로무늬 띠와 유전학적 염색체 지도(모건이 교차율을 이용하여 ... ...
수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새로운 착시도형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구부러지고 빛이 굽는 현상을 나타내는데, 이 중력렌즈효과의 방정식을 도형으로 바꾸니
실험
자의 착시 위치와 일치했다. 즉 많은 수수께끼에 둘러싸인 시각정보의 한 부분을 과학적수법(수식화)에 의해 포착한 것이다.착시의 메커니즘이 해명됨으로써 생물의 시각정보처리가 상세하게 해명된다면 ... ...
마름모꼴 바퀴달린 화성탐사차 제작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있다. 바퀴 배치가 마름모꼴이기 때문에 거의 모든 방향으로 장애물을 넘을 수 있다.
실험
에서 25cm 정도의 높이를 가진 장애물은 아무런 제어없이 손쉽게 통과하는 능력을 선보였다.마름모꼴 4개의 바퀴 구조는 3개의 바퀴로 몸체를 지지하고 남은 하나의 차바퀴로 장애물 구멍의 모양을 탐지하는 ... ...
자지복, 사람 유전자연구에 큰 역할할 듯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독특한 맛을 가지고 고급요리로 각광받고 있는 복이 유전자연구의
실험
생물로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해안에서 고루 분포하는 자지복(참복과의 ... 가지고 있지 않아 척추동물 유전자의 원래 모습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며 자지복이
실험
동물로서 매우 적절함을 강조했다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지름 D의 비율 등은 화산의 분출과 운석의 충돌에 의한 경우에 서로 다르게 된다.
실험
에 의하면 충돌 기원의 경우 W/D~0.93으로 다르므로 서로 구별할 수 있다.○ 크레이터 밑바닥의 고도는 대체로 주위의 지형보다 낮은 것이 일반적인데, 화산지형의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관심이 높아지게 됐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연을 이용해 천둥 번개가 전기현상임을
실험
해 피뢰침을 발명했고 윌리엄 에디는 1890년에 연을 기상 관측용으로 썼다. 연은 다시 글라이더로 발전하는가 하면 1903년 라이트 형제가 연과 글라이더를 바탕으로 비행기를 만들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연은 ... ...
이전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