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량
개조
향상
개혁
쇄신
진보
옴
d라이브러리
"
개선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인슐린 유전자를 집어넣은 미생물에서 인슐린을 추출해 투여함으로써 놀라운 증상
개선
효과를 봤다. 오늘날도 수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인슐린 주사 덕분에 정상에 가까운 삶을 살아가고 있다.사실 렙틴 발견이 의심없이 즉각적인 호응을 얻은 건 호르몬이 식욕을 조절할 것이라는정황증거가 이미 ... ...
“평범한 우등생보다 잠재력이 중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2010년도 입시에서 처음으로 신입생 전원을 입학사정관제로 선발한 포스텍(포항공대, 총장 백성기)은 2011년도 입시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신입생 300명을 모집한다. 과학기술계의 글 ... 정리하는 일은 하고 있다. 그런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 요소나 방법을 계속
개선
해 나갈 계획이다 ... ...
전송 오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통신이론 연구자들은 메시지를 문자열로 바꾸는 방식을
개선
해 수신자가 스스로 전송 오류를 발견해내고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발명해냈다. 이러한 방식을 오류 정정 부호화(Error correction coding)라고 부른다. (라) 4자리의 이진수 문자열 d=d1d2d3d4가 있을 때 여기에 대해 ... ...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평가는 열 명 내외의 전문가나 사용자가 시제품을 직접 이용해 보면서 불편한 점이나
개선
이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는 과정이다.주로 이용되는 방법이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이다. 실제 제품 사용 환경과 비슷하게 만들어 놓고 사용자에게 제품을 이용해 보도록 하면서 제품 이용 과정에서 문제가 ... ...
한국 과학자, 난치성 ‘전립선암’ 치료 가능성 열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암연구센터에 근무하는 명재경 박사(사진)와 그가 속한 연구팀은 호르몬 요법의 단점을
개선
해 난치성 전립샘암을 치료하는 새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호르몬 불응성 전립샘암에 대한 연구는 많이 나왔지만 호르몬과 결합하는 부위가 아닌 수용체의 ‘아미노말단 도메인(N-terminal domain)’을 연구한 ... ...
세상을 꿰뚫는 ‘촌철살인’ 정신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과언이 아니다. 소설가가 되려면 재능을 타고나야 하지만, 이공계 글쓰기는 연습을 통해
개선
하고 습득할 수 있다. 이공계 학생이나 종사자는 좋은 글을 쓰는 능력이 꾸준한 노력에 달려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
F1머신은 왜 비행기 날개를 거꾸로 달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성능을
개선
하는 방법은 세 가지다. 첫째는 엔진과 변속기 같은 주요 부품의 성능을
개선
하는 방법, 둘째는 가벼운 재료를 써서 차량의 무게를 줄이는 방법이다. 그리고 마지막은 자동차 외형을 공기역학적으로 만들어 공기의 저항을 줄이는 방법이다. F1 머신의 경우는 대회 규정상 엔진 배기량이 ... ...
20분에 1종씩 생명이 사라지는 지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것으로 나왔다. 특히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위협이 되는 무분별한 소비는 전혀
개선
되지 않았다. 국제적으로 무역이 금지된 멸종위기종 동물과 꽃에 대한 거래도 여전히 이뤄지는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시장에서 야생화와 야생동물의 무역이 이뤄지면서 거래량이 꾸준히 늘고 있다. ... ...
미래의 글쓰기는 즐거운 ‘필살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올릴 보고서를 제출하고, 기획서를 작성해 발표한다. 회의 때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
한 내용을 서류로 작성한다. 이처럼 대부분의 일이 ‘글쓰기’를 통해 진행된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거나 제품을 만들기까지 수많은 과정이 전부 쓰는 것과 관련돼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자동화, 소형화를 통해 염기해독 비용을 낮추고 해독 속도를 높였지만 이런 ‘
개선
’만으로는 해독에 드는 천문학적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었다.길버트 교수의 수제자로 1970년대부터 DNA염기서열해독법을 연구해온 현 하버드대 의대 조지 처치 교수는 또 바이러스 단백질 구멍을 이용해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