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땅속"(으)로 총 2,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지난 8월 11일부터 17일까지 몽골 남동부 고비사막에서 이뤄진 공룡 발굴 현장에 동행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과 일본 홋카이도대, 몽골학술원 등이 주축이 된 한일몽골 국제공룡탐사 프로젝트의 일부였다. 공룡뼈라고는 평생 얇은 뼛조각 한 번 발견해본 적 없었지만, 연구자들과 함께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알쏭달쏭 해조류가 뭘까?우와~!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해조류박람회 전시관들이 쭉 펼쳐져 있어. 멋지다~! 그런데 잠깐! 해조류가 정확히 뭘 말하는 걸까?해조류는 미역, 김 같은, 그러니까 음…. 어? 마침 저기에 국립수산과학원 황은경 박사님이 계셔. 박사님께 여쭤 보자. 박사님~!바다 숲을 이루는 ... ...
- 물고기 뱃속에 그 많은 플라스틱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인간은 1년 동안 3억t 가량 플라스틱을 생산한다.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땅 속에 묻히지만 매해 0.1% 가량의 플라스틱은 빗물에 씻겨 바다 속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 플라스틱은 어디로 갈까. 최근 스페인과 호주의 국제 공동 연구팀의 연구에 따라면, 대부분 ‘물고기 밥’이 됐다.스페인 4개 대학의 ... ...
- [체험] 손끝으로 만나는 수학세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매지너리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여기 수학의 아름다움과 예술성은 물론, 수학이 세상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곳이 있다. 바로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 자리한 ‘이매지너리’다. 이매지너리는 방정식으로 만들어진 아름다운 수학 그림에서부터 빙하의 생성과 소멸, 화산재의 이동경로 등 생활 속에서 활용 ... ...
- 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외계인의 지구 침공이 시작된 지 벌써 2년. 지구연 합 방위군은 그간 속수무책으로 당해왔다. 스텔 스 전투기도, 항공모함도 무용지물이었다. 외계인의 막 강한 초대형 로봇 ‘데슬레이터(desolator; 방위군에선 이 로봇을 이렇게 불렀다)’ 때문이었다. 전선에 데슬레 이터만 등장하면 즉시 두 손 놓고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군집로봇’은 참 눈에 띄지 않는다. 최근 일본에서 개발된 아나운서 로봇은 사람과 비슷한 외모로 언 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그 전에는 일본의 ‘아시모’ 나 한국의 ‘휴보’가 로봇의 전부라고 여겨지던 시대도 있 었다. 화려한 로봇의 역사에서, 군집로봇은 단 한 번도 무대 위로 올라오 ... ...
- Wild Life 자연의 강렬함을 마주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Wild Life자연의 강렬함을 마주하다광활한 고원에서 마주친 수컷 겔라다개코원숭이. 작가는 숨을 죽인 채 귀를 땅바닥에 대고 옆으로 조심스레 드러눕는다. 풀을 뜯는 원숭이의 심기가 불편해지지 않도록, 죽은 듯이 카메라 셔터를 누른다. 찰칵. 눈을 뗄 수 없는 강렬함이 카메라 속으로 빨려 들어 ...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연구자가 1cm 두께의 ‘물 먹는 재료(왼쪽)’를 들고 있다. 오른쪽은 모델이 된 나미브 사막 딱정벌레. 등으로 공기 중의 물을 모아 마신다.]빨래를 한 뒤 젖은 옷을 들고 두 손으로 꼭 짜면 물이 나온다. 만약 공기 속에 있는 물을 이런 식으로 뽑아낼 수 있다면 어떨까. 아무리 건조한 환경에서라도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오, 정말 아름답지 않나요?”5월 26일 오전 경기 용인 경희대. 미국 브라운대 지구과학과 칼 피터스 교수가 화면 가득 띄운 달 사진을 보며 감격스럽다는 듯이 외쳤다. 경희대 우주탐사학과에서 개최한 ‘달과학 워크숍(학술대회)’에서 주제 발표를 하던 중이었다. 피터스 교수는 한국 나이로 칠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영국 런던지하철이다. 교통체증을 극복하기 위해 SF소설이나 상상으로만 존재했던 땅속을 달리는 열차를 실제로 구현해 낸 것이다.하지만 초기의 지하철은 이용객 수가 많지 않았다. 지금처럼 전기로 달리는 열차가 아니라 석탄을 태워서 움직이는 증기기관차로 운행됐기 때문에 매연이 심각한게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