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얇은 지름 3nm (나노미터·10억분의 1m)인 탄소나노튜브를 만들어 일정한 전압을 걸어준 뒤
전기
저항의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줄이 진동하며 소리를 내고, 더 이상 전압을 걸어주지 않더라도 진동은 멈추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진동하는 줄은 약 231MHz의 초음파를 냈다.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 ... ...
두려움에 맞서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쥐에게 ‘삐~’ 소리와 함께
전기
자극을 줬어요. 그럼 쥐는 ‘삐’ 소리만 들어도
전기
자극에 대한 공포를 느꼈지요. 그 다음 쥐에게 빛을 이용해 좌우 안구 운동을 시켰어요. 이후 ‘삐’ 소리로 쥐에게 공포를 줘도 공포 반응이 줄었지요.연구팀은 쥐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뇌의 신경세포 활동을 ... ...
[과학뉴스] 머리 많이 쓰면 단명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루스 얀크너 미국 하버드대 의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뇌세포의
전기
적 활동 정도가 노화와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16일자에 발표했다. 그동안 신경계 활동과 질병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는 많았지만, 수명과의 상관관계를 밝힌 것은 드물었다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양의
전기
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
적으로 중성인 중성자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기
적인 차이가 첫 번째다. 여기에 또 한 가지 결정적인 차이가 바로 두 입자의 평균수명이다. 무한한 수명을 가진 양성자와는 딴 판으로, 양성자와 떨어져 독립된 중성자는 유한한 삶을 산다. 일반적으로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편이다. 이런 통계에 비춰봐도 이번 수상은 늦은 감이 있다. 특히 휴대전화부터 노트북,
전기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리튬이온전지가 인류의 삶에 미친 파급력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덕분에(?) 올해 97세인 구디너프 교수는 역대 최고령 노벨상 수상자가 됐다. 지난해 초정밀 레이저 활용 기술을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높은 효율을 내는 것은 리튬뿐이다. 가벼워야 하는 휴대용 기기나 연비가 중요한
전기
차에 리튬이온전지가 쓰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다만 ESS 등 휴대성이 강조되지 않는 분야에서는 대체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전지 재활용이나 리튬을 대체할 금속을 찾는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그의 연구는 자연스레 차세대 자동차로 불리는
전기
자동차 부품 연구로 이어졌다. 최근
전기
자동차를 새로 구입했다는 그는 “운전할 때마다 이 차 개발에 내가 일부 기여했다고 생각하면 뿌듯하다”며 본인의 일에 자부심을 드러냈다.또 그는 “후배들이 그만두지 않고 계속 일하게 돕는 것도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수사에 활용할 수 있는 DNA 프로필이 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증폭 과정이다.
전기
영동을 통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만큼 DNA를 증폭해야 범인을 식별할 수 있다. 증폭에는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이 사용된다. 생물학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 기법은 열에 강한 고온세균의 DNA 중합효소인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외르스테드’가 전류가 흐르는 전선 근처에서 나침반이 돌아가는 현상을 보고
전기
와 자기가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 전자기력 연구의 시작이었지요. 대부분의 물질은 전하를 띠기 때문에 거의 모든 상호작용을 전자기력으로 설명할 수 있어요. 박수를 치는 걸 예로 들어 볼까요? ... ...
[과학뉴스] 구부리고 늘리고 비틀어도 되는 전극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구부리거나 늘리거나, 심지어 비틀어도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는 유연한 전극이 개발됐다.이신두 서울대
전기
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전도성 고분자를 ... 국지화 기술을 적용해 신축성이 있는 전극을 만들었다. 개발된 전극은 40%가량 늘려도
전기
적 특성을 유지했다. doi: 10.1038/s41598-019-49322-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