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한 크루아상, 진짜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어마어마한 크기다. 일반 크루아상에 비해 수십배 크기이다. 저렇게 크고 그리고
모양
을 온전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할까? 사진 공개자는 실제로 초대형 크루아상을 만들었다고 설명하지만, 일부 네티즌들은 믿지 못하겠다는 댓글도 남겼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명왕성에는 얼음입자를 분출하는 화산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온도 때문에 물과 질소 얼음 등이 화산처럼 분출되는 원리다. 연구팀은 명왕성의 하트
모양
지형 '톰보 지역'의 중앙 좌측 일부인 스푸트니크 평원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했다. 뉴호라이즌스에 달린 관측 장비는 1km 크기의 지형도 식별이 가능하다. 스푸트니크 평원 중에서도 남서쪽에 위치한 약 1 ... ...
신경관 형태 그대로 구현한 척수 '오가노이드'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9
태아 형성 과정에서 낭배 형성이 일어나면 배아의 등 쪽에 위치한 특정 세포가
모양
을 변형하며 신경관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이 과정을 신경관 형성이라 하는데, 이때 신경관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비정상적인 신경관 접힘과정이 선천성 발달장애 중 하나인 신경관 결손을 일으킨다. 인간의 ... ...
평생 처음 보는 신비한 무지개
팝뉴스
l
2022.03.23
받은 이미지다. 사진이 포착한 것은 무지개인데,
모양
이 상당히 특별하다. 납작한
모양
이다. 게다가 수평선에 붙어 있다. “평생 처음본다”고 말하는 댓글이 적지 않다. 정말 이렇게 신비한 무지개가 세상에 존재하는 게 놀랍다고 네티즌들은 말한다. 일부 네티즌은 다른 행성에서 ... ...
눈동자도 못 움직이던 루게릭병 환자, 뇌에 칩 심고 "멋진 아들 사랑해"라고 말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어레이 중 하나. 가로세로길이가 3.2mm인 정사각형
모양
이다. 이 어레이에는 바늘
모양
전극 64개가 달려 있어 뇌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스위스 비스생물학및뇌공학센터 ... ...
[과학게시판] DNA메모리·바이오닉 슈트 등 미개척 융합기술개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수만 개를 규칙적으로 배열한 뒤 구멍에 블록코폴리머를 넣고 전계를 걸어 비눗방물
모양
의 구조물을 만든 뒤 외부를 다공성 하이드로젤로 채워 고정해 50일 이상 형태를 유지했다 ... ...
자석의 힘으로 기관지 끝까지 이동하는 지렁이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띠는 입자들이 몸 밖 외부 자석의 위치나 방향에 따라 다르게 반응해 몸의 방향을 틀거나
모양
을 바꾸며 움직인다. 연구팀은 로봇을 작고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 부드러운 탄성물질과 고무를 사용했다. 여기에 자력을 띠는 미세한 입자들을 삽입해 외부 자석에 반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 ...
암세포 주변에서만
모양
바꿔 침투해 암세포 죽이는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0
암세포 주변에서만 움직임을 만들어 세포막을 뚫고 침투해 세포를 죽이는 나노입자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암세포 주변에서만 움직임을 만들어 세포막을 뚫고 침투해 세포를 죽이는 나노입자가 개발됐다. 정영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분자인식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
[표지로 읽는 과학]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DNA 역할을 예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9
꼬여있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비부호화 DNA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아미노산 사슬을
모양
이 잘못 잡혀 단백질이 본래 기능이 바뀌거나 상실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수백만 개의 비부호화 DNA를 효모에 삽입하고 각각이 단백질 발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해 만든 데이터 ... ...
공학한림원 대상에 현택환 교수…젊은공학인상에 김익재 책임연구원·노준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3.17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카이랄성은 왼손과 오른손처럼 구조와
모양
이 똑같이 생겼지만 마치 거울에 비친 듯이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어 서로 겹쳐질 수 없는 분자구조를 말한다. 노 교수는 또 나노 사이즈 카이랄 입자 합성을 통한 광특성과 컬러 구현을 통한 차세대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