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진파가 밝힌 지구의 속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지구의 속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과학뉴스포털 ‘피조그’는 미국 프린스턴대 지구과학과 제론 트럼프 교수팀이 지진파를 이용해 지구 전체 맨틀의 3차원 지도를 완성했다고 3월 16일 보도했다. 트럼프 교수팀은 전 세계 지진관측소에서 수집한 3000여 차례의 지진 관측 자료(규모 5.5 이상)를 바탕 ... ...
- [과학뉴스] ‘아리랑 3A호’ 26일 러시아에서 발사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국내 최초로 적외선 관측이 가능한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A호’가 우리 시간으로 3월 26일 오전 7시 8분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드네르프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아리랑 3A호의 발사 준비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6년부터 8년간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최초의 호모 속 조상’은 이렇게 생겼다 | 280만 년 전 첫 호모 속의 턱뼈를 자세히 뜯어보자. 어떤 특성이 있을까. 이 화석은 원시적인 종인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특성과, 진화한 종인 호모 속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다.]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밝혀진 가장 오래 된 호모 속 초기 인류를 밝혀냈 ...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타고 충격적인 동영상이 퍼졌다. 20대 남녀가 서울 용산역 인근에서 발생한 깊이 3m 싱크홀에 추락하는 모습이 폐쇄회로(CC)TV에 잡힌 것이다. 수많은 시민이 경악했지만, 싱크홀 공포에서 벗어날 방법이 전혀 없는 건 아니다. 발생할 위험이 있는 지역을 분류해 관 ...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지붕에서 떨어지는 사람은 중력을 느낄 수 없다.’ 일반상대성이론의 출발점이 된 아인슈타인의 유명한 사고실험이다. 그는 중력효과와 가속도효과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중력과 가속도는 같다고 생각했다(등가원리). 이런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인슈타인은 어떻게 중력을 이론 ... ...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스마트폰이 생기고 나서 아버지와 공유하는 순간이 늘었다. 대구와 서울, 수백 km 떨어진 거리지만 스마트폰으로 찰칵 사진을 찍어 메신저로 사진을 보내면 먼 거리는 무의미하다. 아들은 야근하는 난잡한 책상을, 아버지는 어머니와 탄 케이블카 사진을 보낸다. 똑똑한 물도 이런 공유를 전면에 내 ... ...
- [과학뉴스] 응답하라 1986, 가장 극적이었던 혜성 이야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1986년은 여러 모로 특이한 해다. 그 해에 태어난 이들은 올해 한국 나이로 서른 살이 됐다. 지금 이 기사를 읽는 독자 가운데에 이 해에 태어난 독자도 있겠다(과학동아 편집부에도 이 해에 태어난 기자가 몇 명 있다. 인생의 중요한 한 고비를 넘긴다고 싱숭생숭해 하고 있다. 괜찮아…, 별거 없어). ... ...
- [과학뉴스] 혁신인 듯 혁신 아닌 애플워치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미국 현지시각으로 3월 9일 이것이 드디어 공개됐다.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를 대박 낸 애플의 첫 웨어러블 기기 ‘애플워치’다.애플워치는 소재에 따라 기본형(애플워치, 알루미늄)과 일반형(애플워치 스포츠, 스테인리스 스틸), 고급형(애플워치 에디션, 18캐럿 금코팅) 등 세 종류다. 크기는 3 ... ...
- [과학뉴스] 중생대 최대의 도마뱀, 고향은 한반도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공룡의 시대’라고 부르는 중생대. 하지만 이 시기에는 공룡 이외의 파충류도 육상을 누비고 있었다. 그 가운데 거대한 도마뱀도 있었는데, 최근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거대한 중생대 도마뱀의 정체가 국내 연구자에 의해 새롭게 밝혀졌다.박진영 대중을 위한 고생물학 자문단(PCP) 독립연구원과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예상 기온은 개화 시기를 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변수다. 예상 기온이 틀리면 예상 개화일도 틀릴 수밖에 없다. 지난해가 바로 그런 경우다. 2월 기온과 3월 예상 기온으로부터 벚꽃 개화 시기를 추정해 예보를 냈는데, 그 다음날부터 3월 내내 이상고온 현상이 계속됐다. 급기야 서울 벚꽃은 3월 28일 ... ...
이전7667677687697707717727737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