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실험"(으)로 총 10,0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 전이 조절하는 유전자 23개 새로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7.01.12
- 일으킨다는 점에 착안 연구진은 Spns2 유전자를 제거한 돌연변이 피부암 생쥐를 이용해 실험을 계속했다. 그 결과 Spns2을 제거하면 피부에 있던 종양이 폐로 퍼지는 확률이 4배 감소함을 확인했다. 폐뿐 아니라 Spns2의 발현을 인위적으로 줄이면 결장암, 유방암 등으로 전이하는 비율 역시 현저하게 ... ...
- [카드뉴스] 맛있는 스테이크를 구워라!!!동아사이언스 l2017.01.11
- 통조림 파인애플, 콜라, 사과, 양파를 즙으로 내어 22g씩 넣은 실험군을 만들어 실험해봤습니다. 30분간 재운 고기를 170℃로 예열한 오븐에 넣어 약 13분 동안 동일하게 구웠지만 고기들은 형태부터 차이가 있었는데요. 대부분의 고기들은 형태가 거의 변하지 않았지만 키위 즙과 파인애플 즙을 넣은 ... ...
- 진통제도 안 듣는 만성 통증 잡을 길 열었다동아사이언스 l2017.01.10
- ☞ 음이온 채널: 음전하 이온이 드나들 수 있는 세포막의 통로. 연구진은 쥐 실험을 통해 아녹타민-2 채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통증이 있어도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신경세포가 감각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달해 통증이 멈추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녹타민-2 채널의 발현을 ... ...
- [ESC의 목소리(8)] 청년 과학기술인에 대해 말한다는 것 2017.01.10
- 과학기술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ESC의 목소리를 전합니다. 주로 △나의 연구, 나의 실험 △내가 보는 과학과 사회 △연구윤리/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확실한 과학, 논쟁적인 과학 등 4가지 분야의 글이 소개됩니다. 동아사이언스를 통해 과학기술계의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합리적이고 ... ...
- 젊게 살고 싶다면 ‘염증’ 조심하세요동아사이언스 l2017.01.09
- ’라는 물질 때문이라는 사실 역시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염증 유도 노화설을 실험적으로 증명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인자를 조절하면 노화의 진행을 늦출 수 있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교수는 “염증 제어를 통해 노화 억제 가능성을 개척한 것이 이번 연구의 의의”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 ...
- [백문이불여일짤] ① 아무리 먹어도 안 줄어드는 초콜릿이 있다고?동아사이언스 l2017.01.09
- 짤과 같은 비율의 초콜릿이 실제로 있었다면, 초콜릿 한 조각이 계속 생겨나는 눈속임 실험에 성공할 수 있었을 텐데요! 맨 처음 살펴 봤던 유튜브 초콜릿 영상을 다시 봤더니, 흐흐 이 역시도 넓이 착시를 이용한 거네요. 못 믿을 독자를 위해 캡쳐 화면을 준비했습니다. 영상으로 휘리릭 지나갈 ... ...
- [CES2017] 자동차는 어떻게 진화하는가2017.01.09
- 패러다임을 새로 짜야 할 시기다. CES에서 자동차 기업들은 그런 가능성을 다양하게 실험했고, 단순한 기술 자랑이 아니라 실제 가능한 시나리오들을 내놓았다. 몇몇은 ‘당장’ 쓸 수 있다. 이전 세대의 차량 진화와 확실히 다른 무엇인가가 있다. 운전석의 변화가 아니다. 분명 자동차는 그 자체로 ... ...
- ARM, “자율주행 시대도 저전력, 통합, 효율이 우선”2017.01.09
- 결합이 눈 앞에 다가왔고, 영화 속에서나 보이던 자율주행 자동차가 실제로 도로 위에서 실험되고 있는 세상이 왔다. 겉으로야 자동차 회사들이 주목받고 있지만 실제 이 시장을 이끄는 건 반도체 기업들이다. ARM도 이 분야에서 빠질 수 없다. 이미 ARM의 기술로 만든 프로세서들과 마이크로 ... ...
- “우리도 일본처럼 면역·줄기세포 규제 풀자” vs “위험천만한 소리”동아사이언스 l2017.01.08
- 보건복지부는 국회에 제출한 의견에서 “살아있는 세포를 투여하기 때문에 전임상(동물실험 등) 결과를 토대로 임상결과 예측이 곤란하고, 기존 의약품 임상시험의 연구방법을 적용할 수 없으며, 제품 제조공정이나 품질기준 확립이 곤란하다는 특수성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반대 측에선 ... ...
- 일명 '김기춘 회춘주사' 3600만원…"일본 원정치료 열흘 뒤에 떠날 수 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1.07
- 세포 배양을 못하기 때문이다. 환자의 몸에서 빼낸 면역세포나 줄기세포는 극소량이라 실험실에서 수천 배로 증식시켜야 뚜렷한 치료 효과가 생긴다. 배양과정에서 세포가 감염될 위험도 있고, 제대로 증식하지 못해 치료 효과가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한국과 미국, 유럽 등에선 ... ...
이전7697707717727737747757767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