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특강] 전 세계 스타벅스 매장을 모두 가려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1 미국 뉴욕에는 고등학교에 진학하려는 지원자가 8만 명에 이른다. 이들이 700개 이상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지원한다(고등학교가 아니라 교육과정이다. 1개 학교가 여러 교육과정을 개설한다). 한 사람이 12순위까지 지원 학교를 적어 낼 수 있다. 당신이 선량한 뉴욕시의 교육행정 담당자라고 해 ... ...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입자물리학에서 연구하는 현상은 원자핵보다도 훨씬 작은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 혹은 우주가 빅뱅에서 탄생한 지 1억 분의 1초보다 이전의, 극히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현재 우주에서 이런 상태를 관찰하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가속기를 이용해서 양성자나 전자를 가 ... ...
- [Life & Tech] “빛이 학문-국가의 경계 넘어 온 세상을 이롭게 비추길”과학동아 l2015년 03호
- “2009년에 광섬유, 2012년에 양자물리학 그리고 지난해 청색 LED까지. 최근 10년 새 광학 분야에서 노벨상이 쏟아지는 데는 분명 이유가 있습니다. 21세기는 광학이 이끌어 갈 것입니다.” 199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아메드 즈웨일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의 기조연설이 끝나자 장내는 뜨거운 ...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서양 학문을 천 년 넘게 지배한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물체에게는 저마다 ‘자연스러운’ 위치가 있고, 방해만 받지 않는다면 모든 물체는 자신의 자연스러운 위치를 향해 움직인다고 설명했다. 오늘날 우리는 이설명이 과학적이지 않다는 것을 안다. 땅바닥이 ‘왜’ 사과의 자연스러운 위치인 ... ...
- 낮은 기온에서 더 활발한 감기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여러분도 겨울만 되면 감기 조심하라는 말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을 거예요. 그런데 실제로 겨울철처럼 기온이 낮을 때 감기에 더 걸리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미국 예일대학교 면역생물학과 아키코 이와사키 교수 연구팀은 각각 다른 온도의 환경에서 바이러스가 얼마나 잘 번식하고 ... ...
- 제왕나비는 왜 추운 곳에서 겨울을 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제왕나비는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나비예요. 오렌지색과 검은색 무늬가 뚜렷하게 대조를 이루고 있어 무척 아름답지요. 외모만큼 인상적인 제왕나비의 특징은 겨울을 나기 위해 최대 5000km를 날아서 멕시코로 이동하는데, 정작 월동 장소로 냉장고처럼 추운 곳을 선택한다는 거예요. 추위를 피 ... ...
- 화산 오늘도 뜨겁게 부글부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지난 1월 초, 일본 큐슈 가고시마현에 있는 사쿠라지마(櫻島)가 분화를 시작했어요. 사쿠라지마는 화산 폭발로 생긴 섬이지만, 1914년 대분화 이후로 육지와 연결됐어요. 2013년에만 500번 넘게 분화하며 활발하게 활동 중이기 때문에 언제 또 모습이 바뀔지 모른답니다. 이처럼 화산은 어느 날 갑자기 ... ...
- 새해에는 작심66일! 굿바이 게으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컴퓨터 게임을 하루에 한 시간만 하기, 매일 저녁 책 한 권씩 읽기, 아침마다 동네 한 바퀴 달리기, 하루에 영어단어 5개 외우기…. 2015년 새해를 맞아 친구들이 세운 계획은 무엇인가요? 새해에는 나쁜 습관을 고치거나 부지런해지거나, 또는 건강해지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사람 ... ...
- [화보] 모자이크 컬처 식물의 우아한 변신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예뻐지기 위한 식물의 변신이 시작됐다. 동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아름다운 자태는 ‘모자이크 컬처’라는 새로운 예술로부터 시작됐다. 여러 빛깔의 종이나 타일을 조각조각 붙여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탈바꿈하는 모자이크 기법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심는 데 적용한 것이다. 마다가스카르의 ...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뜻이니, 정말 골치 아픈 놈일 수밖에 없다. 큰 무한과 작은 무한을 비교하는 일은 독일의 수학자 칸토어 이후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어쨌든 다루기 까다로운 건 여전하다.프랑스 최초의 필즈상슈와르츠는 이런 골치 아픈 녀석을 포함하는 새로운 수학적인 대상을 도입하려고 했다. 그는 이를 ... ...
이전77077177277377477577677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