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출전하고 있다. 사람처럼 두 발로 걷는 로봇이 파괴된 원자로로 들어가 사람 대신 사고 현장을 복구하고 나오는 시합이다. 아직 기술적으로 어려운 점이 많지만 성공하기만 하면 사실상 세계를 구하는 로봇을 개발하는 셈이 된다.오 교수팀은 휴보를 개조한 ‘DRC휴보’로 이미 예선을 통과하고 올해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추천했다. 다음과 같은 책의 한 구절을 인용하며, 마지막으로 히로나카 박사처럼 유쾌한 사람이 되길 당부했다. “수학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마다 나는 ‘난 바보니까’를 중얼거린다. 어차피 나는 바보니까 못하는 것은 당연하고, 할 수 있으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면 머리가 한결 가벼워진다.” -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높아집니다. 그래서 디자이너가 자주 참여합니다. 디자이너는 원래 산업물을 만드는 사람이잖아요. 그런데 산업물 쪽은 예전부터 과정을 대중에게 알리는 전시를 많이 했어요. 그게 순수미술 전시 쪽에도 영향을 미친 사례지요. 이렇게 최근 디자이너의 미술 전시가 늘고 있습니다. 건축가라는 ... ...
- [화보] 이슬람으로 떠나는 기하학 산책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정다각형으로 평면을 채우는 경우는 모두 8가지로, 아래의 그림과 같다. 이것을 발견한 사람은 17세기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로, 한 종류의 정다각형으로 만들 수 있는 3가지 타일링을 더한 11가지를 ‘아르키메데스의 타일링’이라고 한다. 아르키메데스가 연구한 것은 아니지만, 훗날 수학자들이 ... ...
- 통계로 미래를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때 주의할 점➊ 이 자료의 출처는 어디인가?정부기관과 같이 잘 알려진 기관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그 자료에 관심을 갖기 때문에 자료를 조작하기가 어려워요.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기관의 이익에 따라 자료를 조작할 수 있어요.➋ 어떤 과정을 거쳐 자료를 만들었나?자료가 어떤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박사님은 취재 내내 재미있는 예를 들어주시며 즐겁게 응해 주셨다. 박사님은 똑똑한 사람들이 갖고 있는 지적인 모습과, 아빠 친구 같은 정답고 푸근한 모습을 다 갖고 계신 분이셨다. 박사님은 우리에게 한 분야에만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방면으로 공부를 하며 살아가라고 조언하셨다. 또한 ... ...
- 딴짓하는 입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지성의 기반인 언어를 가능케 해준다. 신경이 많이 모여 있는 예민한 입술은 사랑하는 사람과 우리를 이어준다. 외부를 향해 나 있는 작은 구멍은 어떻게 이렇게 풍성한 기능을 지니게 됐을까. 입의 진화는 우리 삶의 진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딴짓하는 입INTRO. 세상엔 어떤 입이Part|. 입은 ... ...
- INTRO. 세상엔 어떤 입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물고기에 붙어 피를 빨아먹거나 시체를 파먹는다.➎ 달팽이달팽이의 입을 유심히 바라본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달팽이의 입에는 무려 수만 개의 미세한 이빨이 있다. 이 이빨은 먹이를 잘게 잘라 입 안으로 옮긴다.➏ 외뿔고래수컷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기다란 뿔이다. 그래서 이름도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평가보고서를 발간했다. 특히 2007년 2월 발표한 4차 보고서가 워낙 충격적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체감하게 됐고, 그 해 노벨 평화상까지 받았다.이번에 발표된 보고서는 2014년 10월 덴마크 총회에서 승인될 제5차 종합보고서의 일부다.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를 담당하는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혔다. 남부 교수는 이 공으로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눈치챈 사람도 있겠지만, 자발적 대칭성 깨짐을 도입한 이유는 바로 앞서 설명한 게이지 입자가 이론과 달리 실제로는 질량을 갖는다는 모순을 풀기 위해서다. 하지만 남부 교수가 모든 문제를 해결한 것은 아니다. ... ...
이전7717727737747757767777787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