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인"(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LTE만 느린 이유과학동아 l201308
- 3G폰을 쓸 때는 메시지가 안 보내지는 까닭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서인 줄만 알았다. 그래서 LTE폰으로 바꿨지만 크게 달라지는 건 없었다. 속도는 확실히 빨라졌지만 간혹 가다 속도가 안 나오기 시작하면 3G나 LTE나 그 밥에 그 나물이다. 지하철을 타고 캄캄한 지하를 통과할 때도 펑펑 터지던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08
- “오늘은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표한 지 60주년을 맞은 2013년 4월 25일입니다. 여러분이 계시는 이곳은 ‘섭섭박사 DNA 연구소’입니다. 현재 DNA 연구가 어디까지 왔고, 유전자 기술이 미래를 어떻게 바꿀지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꾸민 곳입니다. 이번 미션은 연구 ... ...
- [체험] 디지털건축연구실 탐방 건축, 예술 작품이 되다!수학동아 l201308
- 건축가는 수학자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어떠한 형태도 기하학으로 표현하고, 실제로 짓기 위해 모든 값을 수치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순한 계산을 넘어서 수학을 활용해 건축 디자인을 하는 사람이 있으니, 바로 디지털건축연구실 국형걸 교수다. 게다가 그의 디자인은 미술관에 전시 ... ...
- 돼지가 궁금해? 돼지 보러오면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307
- 킁킁, 어디선가 구수한 냄새가 나는데?앗, 똥글똥글한 이것은…? 설마 똥?꺄~, 꿀돼지가 종일 냠냠 맛있게 식사를 하더니. 에그, 더러워!얘들아, 그렇지 않아. 우리는 무척 깔끔한 동물이라고!돼지가 깨끗하다고?우리가 궁금하다면 어서 우리를 보러오면 돼지! 더럽고 멍청하다고 오해하면 안 돼지! ... ...
- 3차원 - 단군은 혹등고래 타고 동해 건넜을까과학동아 l201307
- 선사시대의 인류는 지식과 정보를 어떻게 기록하고 전달할 수 있었을까. 사람들은 고민 끝에 바위를 선택했다. 생활과 바람을 그림으로 새겨 표현한 암각화다. 최근 투명댐 설치 추진으로 관심을 모은 울산광역시 반구대 암각화도 그 중 하나다.국보 제258호로 지정된 이 암각화는 그림이 집중적으 ... ...
- “인간 유전자는 특허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307
- 인간 유전자는 과연 특허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 지난 6월 13일 유전자 연구와 생명공학계의 미래가 걸린 ‘세기의 재판’이 끝났다. 미국 대법원은 “자연적으로 발생한 DNA는 자연의 산물이며, 단순히 분리됐다는 이유로 특허대상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즉, 인간의 유전자는 더 이상 특허의 대 ... ...
-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307
- 나방도 울고 갈 위장의 귀재, 털매미온몸이 털로 덮여 있어 털매미라는 이름이 붙었다. 몸 길이는 20mm다. 매미 중 가장 보호색이 발달한 종이다. 몸통은 물론 날개까지 나무줄기 색과 같아 바로 눈 앞에서도 찾기 어렵다. 2008년 7월에 모 방송국 어린이 과학프로그램에서 매미를 다룰 예정이니 도와달 ...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과학동아 l201307
- 방사능물질이 가득 쌓인 원자로 속으로 씩씩하게 걸어 들어가 고장난 냉각관을 수리하고 나오는 로봇. 거센 불길의 화재 현장을 뚫고 들어가 사람을 업고 나오는 로봇…. 아직까지 이런 로봇은 세상에 없다. 2년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에도 고장난 원자로를 수리할 수 없어 애를 먹었다. 하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07
- 유전자변형(GM) 밀이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1996년 미국에서 상업재배가 시작된 뒤 세계 많은 사람들이 섭취해온 GMO는 지속적으로 인체와 환경 위해성 논란을 일으켜 왔다. 이번 미국산 GM 밀은 정식 승인이 되지 않은 품목이어서 논란이 더 크다. 승인되지 않았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일 ... ...
- [가상 인터뷰] 꿈의 소재, 그래핀에는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307
- 지난 5월 미국 컬럼비아대 김필립 교수는 그래핀으로 물리학계의 37년 된 난제 ‘호프스타터의 나비’를 구현했다고 발표했어요. 이때 수학적 구조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죠. 놀라운 것은 2005년 그래핀의 양자홀 효과에 이어 이번에도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 가임 교수와 같은 시기에 연구 결과를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