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d라이브러리
"
미
"(으)로 총 1,823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백령도 일원은 중국에서 북한까지 연결된 지층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이
미
8억년 전후의 고지자기가 밝혀진 중국과의 연관성이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당시 한반도 주변의 상황을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백령도 지층의 발견은 말하자면 고조선 당시 쓰여진 역사서를 찾아낸 것과 ... ...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운용을 중단한 일도 있었다. 월마트를 중심으로 전자태그를 활발하게 도입하고 있는
미
국에서도 RFID기술에 대한 규제입법이 추진 중이다. 캘리포니아주 하원 데브라 보든 의원이 제안한 이 법안은 소비자의 동의 없이 전자태그를 이용한 개인정보수집을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법안은 ... ...
4억2천8백만년 전 세계 최고 육상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나타날 정도로 잘 보존돼 있었다. 숨구멍은 이 생물이 산소를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
미
하며 이것이 곧 육상동물임을 증명해준다. 이번 연구에 참여했던 고생물학자인 앤더슨 박사는 “이 생물이 물 속에 살았다면 숨구멍이 온통 물로 가득 찼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처럼 스코틀랜드에서 초기 ... ...
분노 느낄 때 편견 생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즉각적으로 편견을 갖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월 19일
미
국 ABC방송은
미
노스이스턴대와 매사추세츠대 공동연구팀이 심리학 전문지 ‘사이컬러지 사이언스’ 2월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일반인들을 상대로 한 조사 결과 사람들은 분노를 느낄 때 ... ...
나노기술
미
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늘어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반면 일부 과학자들은 상업화된 나노입자가 매우
미
량이기 때문에 벌써부터 이에 대한 부작용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또는 상업화도 안된 시점에서 유해성부터 논의하기는 힘들다고 말한다. 과연 방치해도 되는 일일까.이에 대해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운용되고 있거나 건축중에 있다. 이들 로봇 무인천문대는 태평양에서 북아프리카, 북
미
, 유럽 등 세계 곳곳에 설치돼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관측정보와 교육자료를 제공한다.레몬산천문대 망원경을 이용한 연구는 크게 두 분야로 나뉘어 수행될 예정이다. 1m급 ... ...
스팸메일 뿌리뽑는 불가능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방지기술이 평행선을 그리며 발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제로 필터링을 피하기 위해 이
미
지로만 메일을 만들거나 하이퍼텍스트언어(HTML)태그를 변형하는 등 틈새를 노린 스팸메일이 최근 크게 늘고 있다. 또 해커나 범죄조직과 결합하면서 해킹툴로 컴퓨터에 침입해 메일을 대량 발송한 뒤 ... ...
전산수학 개척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김정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즐기는 저의 성격과 맞아떨어졌어요. 특정 조건에서 어떤 경우가 있을지를 잘 따져야
미
래를 좀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잖아요.당시는 왜 아내와 결혼을 하게 됐는지에 대해 다시 한번 확인하는 순간이었죠.지난해 한한기 동안 서울대와 연세대에서 전산수학을 강의하셨고 5월에는 서울대에 ... ...
초콜릿 사랑한 물리학자의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구형이 공간의 최고 6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런데
미
프린스턴대, 코넬대, 노스캐롤라이나센트럴대 소속의 수학자, 물리학자, 화학자가 공동으로 실험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뜻밖의 성과를 얻었다. 타원체인 경우가 구형보다 실제로 용기에 더 많은 ... ...
별을 뜯어먹는 블랙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때 발생하는 강력한 X선을 포착하는데 성공했다. 이 발견은 블랙홀의 성장과 주위 별들에
미
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정보다. 이 블랙홀은 지구에서 7억광년 떨어진 RX J1242-11 은하에 존재한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