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활줄
활시위
끈
행렬
열
시위
d라이브러리
"
현
"(으)로 총 1,06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스라엘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사해 부근의 온도가 높아 물이 유입량만큼 증발하기 때문이다.사해에서의 신기한 자연
현
상은 물 위로 돌출된 수많은 소금결정물이다. 담수가 유입되는 요단강쪽에서는 염도가 떨어지는 대신 바위처럼 단단하게 굳은 소금 덩어리가 많이 나타난다.사해는 자연과 종교의 신비가 함께 숨쉬고 있어 ... ...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0}^{-9}$을 가리킨다) 및 신경망 등과 같은 기술들의 진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다.
현
재의 스마트재료는 제작자의 의도를 수동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데 반해 미래의 스마트재료는 센서의 도움을 받아 자신이 최선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예는 헬리콥터의 로터(rotor, 회전날개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송순창씨를 중심으로 교직자 18명이 모여 만든 이 모임은 그동안 회원이 꾸준히 증가해
현
재 3천명을 넘어섰다."산야에 날아드는 조류를 보호하고자 만든 국내 최초의 민간 조류보호 단체라는 데 긍지를 느낍니다."사실 대한조류협회는 그동안의 활약상이 매스컴에 자주 보도돼 많이 알려져 있다. ... ...
독창적 기술개발 없이는 공업발전 힘들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우리나라에서 산업기술의 독자적인 개발능력을 높이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현
과학기술연구원)을 설립한 것은 1965년의 일이다. 당시 KIST는 부품이나 반제품 완제품 등을 개발해 산업계의 국산화 노력을 뒷받침하는 데 전력을 쏟았다. 그리고 연구소의 주요 업적을 홍보하기 위해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우라늄의 핵분리로 만들어지는 인공원소인 플루토늄은 핵무기와 고속증식로의 원료가 된다. 플루토늄을 일본이 대량 확보하고 있어 일본의 핵무장 ... 임진왜란과 일제 36년을 겪은 우리이기에 일본이 경제대국에 이어 군사대국으로 치닫는
현
상에 경계의 눈빛를 거두어서는 안될 것이다 ... ...
무인 자동차의「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점이다.PC급으로 워크스테이션급의 기능 발휘해국내의 개발상황은 어떠한가.
현
재 발표된 것으로는 고려대 연구팀이 개발한 국내 최초의 KARV-1호가 있다. 이 차량은 기본적인 도로주행 및 장애물감지능력을 가지고 있다. 외국사례와 비교해 놀랄만한 사항은 KARV-1호의 시스템은 아주 저가의 장비들로 ... ...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채집하더라도 뿌리만은 남겨야겠습니다."전국 산야를 누비다 보니 누구보다 자연파괴
현
장을 자주 보게 돼 안타깝다고 말하는 그는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시멘트를 위한 석회암 채취도 자연이 훼손되지 않도록 석탄을 채취하듯이 터널을 파고 할 것을 주장한다."환경을 파괴하기는 쉬워도 이의 ... ...
카메라 렌즈 통해 조물주의 오묘한 섭리 느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현
임운경 회장을 주축으로 지난 89년 12월 30여명이 모여 창립됐는데,
현
재는 회원이 60여명으로 늘었다. 임회장은 이 모임이 창립되기까지 10여년의 기간이 걸렸다고 한다."그동안 혼자서 꽃사진을 찍으며 꽃사진 전시회가 있으면 꼭 찾아가서 구경하고 꽃사진을 찍는 사람과 계속 연락을 취했습니다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그냥 무턱대고 아무나 회원으로 받아들이면 중도에 그만두는 사람이 많다는 것.
현
재 이 모임의 회원은 전국에 걸쳐 34명으로 늘어났다. 이 가운데는 외국인(일본인)도 2명이 가입돼 있다. 그동안 회지(會誌)도 두권을 펴냈다. 지난 86년에 간행한 경기도 접류목록(京幾道 蝶類目錄)과 89년에 발간한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공룡은 그 골격의 특징으로 보아 파충류임에 틀림없다. 그렇다면 자동적으로 공룡은
현
파충류들과 같이 냉혈동물이었다고 생각 할 것이다. 실제로 오랫동안 이에 대해 의심치 않고 지내왔다.그런데 약 30년 전에 공룡이 온혈동물이었다고 생각하는 학자들이 나타났다. 그런 학자들은 공룡이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