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기원
출처
근본
뿌리
원인
수원
뉴스
"
원천
"(으)로 총 1,661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재의 미래]⑷ 韓, 1등으로 만든 그래핀 산화물
원천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필자로도 참여했다. 그는 “그래핀 산화물 액정 기술은
원천
기술에 해당한다”며 “국내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핵심소재를 산업으로 육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연구단'과의 ... ...
탄소중립 R&D 전략 세워 기술별 장단기 로드맵 마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CCUS)’ 기술은 2030년까지 산업계에 적용할 가능성을 기준으로 CCUS 상용화 기술과 차세대
원천
기술을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로드맵을 수립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1030만t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거나 다른 물질로 전환하는 실증을 수행한다. 정부는 로드맵 달성을 위해 에너지 공급이나 산업, ... ...
2050 탄소중립 실현 위한 탄소다이어트 추진 전략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CCUS)’ 기술을 2030년까지 통합 실증하고 탄소 순배출 없는 화학제품 생산 등 탄소중립형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핸 연구개발(R&D)에도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 ...
SK, 혁신기술로 항암·난치병 치료제 개발 나선다…2억달러 투자
연합뉴스
l
2020.12.07
분해 치료제는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는 기존 신약 개발 방식과 달리 질병 원인 단백질을
원천
적으로 분해하는 것으로 신약 개발 기술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약보다 효능이 뛰어나고 내성 문제도 없어 상업화에 성공하면 기존 난치병의 치료 수준을 크게 향상할 전망이라고 SK㈜는 ... ...
SW·A I기업 생태계 돕고 인재 역량 강화하는 새 국가 전략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는 연간 1000억원 규모의 '소프트웨어 컴퓨팅 산업
원천
기술 개발사업' 투자를 통해 지능형 반도체나 양자컴퓨팅 등 차세대 인프라를 확대하기로 했다. AI 의료소프트웨어인 '닥터앤서' 고도화하는 융합기술 투자도 확대한다. 공개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을 위한 ... ...
내년 정부R&D 예산 27조원 시대...3대신산업·감염병·소부장에 ‘뭉칫돈’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 기초·
원천
R&D 7.8%, 3대 신산업 36.6% 증가 이날 확정된 과기정통부 예산 중 기초·
원천
R&D는 올해보다 4320억원(7.8%) 늘어난 5조9938억원이 책정됐다. 연구자 주도의 기초연구 및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우주·원자력 기술 개발, 기술사업화 등에 반영된다. 특히 연구주제와 기간 등을 ... ...
일반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꿔 뇌질환 극복한다…김종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세포의 운명전환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을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세포 운명전환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리프로그래밍’으로도 불리는 세포의 운명전환은 태어날 당시 정해진 세포의 운명을 바꾸는 기술로 1세대 배아줄기세포 기술에서 출발해 현재 체내에서 직접 세포를 교차하는 4세대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항체 ‘유효기간’은 최소 6개월
2020.11.27
이런 항체들과 같은 면역력을 지닌 사람들이 재감염에 자유로울지 곧 바이러스 감염을
원천
적으로 차단하는 살균면역이 될지, 또는 재감염됐을 때 증세를 약화시키기만 할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런 발견들은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관련자료 -https://www.sciencenews.org/article/covid-19-immunity-antibodies ... ...
나노발열소재·의료기기용 나노발전기 '올해의 10대 나노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서강대 교수의 ‘RNA-나노 구조체를 이용한 고감도 암진단 바이오센싱 기술’ 등이 기초
원천
분야 10대 나노기술로 선정됐다. 산업화유망기술 분야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나노탄소 기반 고효율 발열소재 및 유연 필름히터 기술’은 김윤진 테라온 대표가 개발한 기술로 전기차의 에너지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만들었다”며 “조합하는 경우의 수가 무수히 많은 MOF와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로
원천
소재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직접 개발한 금속 유기 골격체(MOF)와 포즈를 취하고 있는 이우황 한국화학연구원 올레핀분리팀 팀장. 남윤중 제공 ※ 최근 소재 연구에서는 첨단기능을 가져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