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
세포로 신약 효과 검증하는 인공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단점을 해결한 간 장기 유사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3차원 오가노이드 배양기술은
줄기
세포의 자가조직화 능력을 이용해 인체 조직과 유사하게 3D 형태로 제작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연구팀이 개발한 간 장기유사체는 신체 밖에서 5개월 이상 증식이 가능하며 동결 보존 이후에도 약물에 대한 ... ...
두 가지 다른
줄기
세포 옮겨심어 심근경색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커뮤니케이션즈' 18일자에 발표됐다. 박훈준 교수는 "특성과 기능이 다른 두 가지
줄기
세포를 각각 다른 방법으로 심장에 이식하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방법을 찾았다"며 "다만 이 방법은 과정이 복잡하고 외과적인 수술이 필요해 훨씬 간결하고 안전한 수술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 ...
두산연강학술상에 고현용 KAIST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종양 조직과 동물모델의 분자 유전학적 분석을 통해 태아의 뇌가 발달하는 과정 중 신경
줄기
세포에 돌연변이(BRAF V600E)가 발생하면 뇌종양과 난치성 뇌전증이 함께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 연구 성과를 통해 소아 뇌종양 기반의 난치성 뇌전증 치료약을 개발할 예정이다. 그는 ... ...
'항암 단백질' p38, 암세포 억제 메커니즘 밝혀졌다
연합뉴스
l
2019.07.19
골수 기질(storoma) 등에 존재하며, 다양한 간엽조직으로 분화하는 능력을 갖췄다. 이
줄기
세포는 암 종양의 발달에 관여하는데 이번 연구에서 암 종양의 혈관 생성 제어에도 관련돼 있다는 게 새로이 밝혀졌다. 네브레다 박사는 "p38은 특히 MSCs에 대한 작용을 통해 (암세포가) 혈관을 만들지 ... ...
뇌세포 ‘자가포식’이 치매와 루게릭병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연구원팀이 만성 스트레스에 의해 뇌 속 해마의 성신경
줄기
세포가 사멸하는 과정에
줄기
세포의 자가포식이 관여한다고 밝혔다. 유 교수팀은 스트레스를 겪은 생쥐의 해마 부위에서 새로운 신경세포가 태어나는 ‘성체 신경발생’이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하고 그 원인으로 자가포식을 유도하는 ... ...
식약처, '인보사' 결국 허가취소 확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인보사의 주성분이 뒤바뀌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인보사를 투여받은 환자들은
줄기
세포인 신장세포로 인한 발암 등 부작용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다. 식약처는 임상시험 대상자에 대한 장기추적 관찰 결과 인보사를 투여한 뒤 중대한 부작용이 발생한 사례는 없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만약의 ... ...
스트레스 받은 뇌,
줄기
세포는 스스로를 먹어 파괴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제거하자 신경
줄기
세포가 스트레스에 의해 죽는 일도 사라졌다.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
줄기
세포 손상을 막을 표적을 발견한 것이다. 유 교수는 “현재 중국 연구팀과 표적이 되는 SGK3를 억제하는 치료제를 개발중”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세포학 분야 국제학술지 ‘오토파지’ 6월 24일자에 ... ...
태아의 뇌 발달 조절하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두뇌 크기 발달에 관여한다고 분석했다. 오우택 소장은 “뉴런이 만들어질 때 신경
줄기
세포에서 아녹타민1 염소이온채널이 하는 역할을 밝혀냈다”며 ”이 연구결과를 활용해 두뇌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폐증이나 조현병, 간질 등 뇌질환의 원인과 치료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 ...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둘 다 하는 것이다. 잎도 두 종류다. 씨범꼬리는 이 모든 꽃과
줄기
를 몇 년이고 땅 속에 숨기고 기다리다 결국 꽃을 피우고 씨를 퍼뜨린다. 이 책임연구원은 “인고를 상징하는 식물이라 특히 좋아한다”고 말했다. 오래 인내해야 하는 꽃의 운명이 북극의 과학 연구와 언뜻 ... ...
체내 원하는 곳 콕 집어
줄기
세포 운반하는 마이크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분화하는 데 성공했다. 실제 쥐 실험 결과 뇌 혈관과 뇌실에서 마이크로로봇으로 이송된
줄기
세포는 성상교세포나 아교세포, 뉴런 등 뇌의 주요 세포로 정상적으로 분화됐다. 연구진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실제 생체 내 환경을 모사한 ‘체외 다중미세장기연결망’이라는 플랫폼을 만들어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