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스페셜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996건 검색되었습니다.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중간쯤 ‘읽어버린 낙원’이라는 제목의 장에 이 에피소드가 있다. 19년 만에 ‘
다시
’ 읽어보니 하이젠베르크에 대한 평가는 필자의 기억이 대충 맞았다. 즉 하이젠베르크는 당시 기술로 우라늄235을 분리농축해 폭탄을 만든다는 건 현실성이 없다고 믿었고 대신 플루토늄 폭탄(나가사키에 떨어진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고질적인 관료주의와 잘 나가는 사람에 대한 중상모략을 견디지 못하고 1887년 사임한다.
다시
유럽으로 온 메치니코프는 독일에 자리를 잡으려고 했지만 받아주는 곳이 없었다. 울적한 ... 하려는데 저 멀리서 파스퇴르가 잠깐 있으라는 신호를 보내고 사라졌다. 잠시 뒤
다시
나타난 파스퇴르는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
IBS
l
2016.07.05
자율성을 제시했다. 문 총장은 "세계경제의 성장률은 현재 3~4%대로 감소 추세"라며 "
다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만이 해결책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또 "국내 성장률이 선진국과 동일선상에 있기 때문에 오히려 지금이 발전할 수 있는 좋은 상황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모든 연사의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가정을 함으로써 잡종 1세대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형질이 그 다음 세대에
다시
나타나는 현상을 멋지게 설명했다. 20세기 중반 들어 유전자의 실체가 명확해지면서 멘델이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다시
반세기가 지나자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으니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뒤섞였다는 걸 발견하고 주위의 보존이 잘 된 지층에서 발견된 시료를 갖고 연대측정을
다시
했다. 그 결과 기존 9만5000년~1만2000년 전 대신 10만~6만 년 전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한편 플로레스섬이 포함된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현생인류가 발을 내디딘 건 대략 5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 ...
‘도덕적이니까’라는 믿음의 무서움
2016.06.14
나서 재활용의 ‘단점’을 알려주는 글을 읽게 했다. 마지막으로 사람들의 태도를
다시
한번 측정해서 처음과 비교했을 때 의견이 얼마나 ‘바뀌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기 의견이 도덕적 기반을 가진다고 믿게 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태도가 덜 바뀌는 경향이 나타났다.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꽃잎이 잔뜩 쌓여 있었다. 다가가보니 꽤 강한 장미향이 주변을 감싸고 있었다. 지금
다시
생각해도 그토록 균형 잡힌 장미향을 꽃잎 가까이 코를 대지 않은 채 맡을 수 있었던 것은 그 때가 유일했다. 하루는 그라스 인근에 야생으로 자라는 허브를 보러 갔다. 천문대가 있는 해발 1000m 고지 ... ...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
2016.05.23
부근에서 벌어진 살인사건은 우리나라에서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다시
한 번 깨닫게 했다. 소위 ‘묻지마 살인’이라는 게 자신보다 힘이 약한 여성이나 아이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지만 ‘여성혐오’라는 낯선 콘셉트까지 나오는 데는 할 말을 잃었다. 그러나 ... ...
남성이 여성보다 성적인 생각을 더 많이 할까?
2016.04.12
꽤 도전 받고 있다고 한다. 저자들의 한 실험에서 가상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위의 실험을
다시
시도해봤다고 한다. 역시 남성이 여성보다 좀 더 쉽게 OK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그런데 흥미롭게도 파트너의 매력도나 친밀함을 고려하면 이 차이가 적어졌다고 한다. 즉, 남성은 매력 없고 별로 안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
IBS
l
2016.04.04
map)’를 머릿속으로 그립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인지하고 변동이 생겨도
다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죠. 이런 감각 정보들이 합쳐지는 곳이 바로 치상입니다.” 쥐의 전전두피질 연구에 뛰어들다 해마를 연구하던 정 부연구단장은 아주대 의학과 교수 시절부터 ‘전전두피질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