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스페셜
"
분리
"(으)로 총 78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산학협력 등에 있어서는 효과를 거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다시금 교육과 과학기술이
분리
되면서 그간 진행됐던 정책을 어떻게 꾸려나갈지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융합인재교육(STEAM), 대학에서의 연구 지원과 관리 등 교육과 과학이라는 두 영역에 공통적으로 속해 있는 사안들에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교신저자로 돼 있는 논문이 하나 실렸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좀 더 완벽하게 분자를
분리
한 뒤 아세토페논 실험을 했더니 정말 차이가 없었다는 내용이다. 투린 스스로 자신의 결과를 뒤집은 셈이다. 물론 그가 성인이 아닌 다음에야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기 위해 따로 논문을 쓰지는 않았을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클로로비움 테피디움(Chlorobium tepidium)이라는 광합성 박테리아의 광합성계 분자복합체를
분리
해 영하 196℃에서 양자 결맞음 현상을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이처럼 낮은 온도 조건이 필요했던 건,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가 불안정해져 양자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이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분석하려면 먼저 효소를 처리해 작은 조각으로 자른 뒤 전기영동으로 RNA 조각을
분리
해(이를 ‘RNA 지문법’이라고 부른다) 염기서열을 확인해야 했다. 우즈 교수팀은 주위의 무관심 속에서 엄청난 노동력이 필요한 지루한 실험을 수년 동안 계속 하면서 데이터를 모았다. 그 결과 자신들도 전혀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981년 베일 연구팀은 첨단 분석장비로 양 수천마리에서 얻은 시상하부라는 조직에서 CRF를
분리
하는데 마침내 성공했다. 이로써 우리 몸의 스트레스 반응은 시상하부에서 조절한다는 이론이 확증됐다. 이를 바탕으로 베일은 생명공학벤처인 뉴로크린바이오사이언시스와 엑설레론파마를 설립하기도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전 종과 나머지의 공동조상이
분리
됐다. 그리고 4만3000년 전 종과 나머지의 공동조상이
분리
됐다(그림 참조). 길들여진 말과 프르제발스키 말은 3만8000년~7만2000년 전 갈라진 것으로 나왔다. 발굴된 뼈만으로는 70만 년 전 종이나 4만3000년 종의 모습을 알 수는 없지만 게놈 데이터만 보면 당나귀보다는 ... ...
“대한민국 이종이식 연구, 9년 간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13
서울대에서 개발한 ‘SNU 미니돼지’에서 돼지 췌도를
분리
하고 임상시험이 가능한
분리
공정을 확립했다. 또 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이 개발한 면역억제제(MD3)를 이용한 약물 요법도 개발했다. 그 결과 전임상시험에서 영장류 6마리 중 4마리가 6개월 이상 생존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 조절T세포를 ... ...
“생명과학 강국 만들기, 전담부처가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12.25
전무는 기업인으로서 새 정부에 실직적인 산업체 육성책을 주문했다. 그는 “정부기능이
분리
돼 있다 보니 예산만 주고 끝나는 경우가 많다”며 “이 체제로 연구개발 실적을 유지하려면 계속 돈을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추 전무는 “기초분야는 계속 투자를 해야 하지만, 사업화 부분은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7.23
착수했다. 그로부터 6년 뒤 무당거미의 몸속 박테리아에서 ‘아라자임’이라는 효소를
분리
해냈고, 동물 사료에 첨가해 쉽게 소화가 되는 사료를 제품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박 CTO는 “시장은 레드 오션이지만 기술 자체는 블루 오션인 경우가 있다”며 “이는 기존에 시장이 존재하지만 새로운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7.04
2007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하버드 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는 그는 혈액에서
분리
한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해 혈관 생성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피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허혈성 질환’의 세포치료법을 개발하고 있다. ●해외 우수 인재, 한국 채용길 열려야… IBS 정책 기대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