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나무"(으)로 총 8,3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동제일교회 한국인 건축가 심의석과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가 세운 최초의 교회. 이 교회의포스팅 l20141101
- 뒤에서 독립선언서를 인쇄했다고 합니다. 배재학당 아펜젤러가 세운 최초의 근대교육기관 벽돌을 사용하고 반지하도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주로 나무로 지상건축만 했었다고 해요 우리나라 최초의 삼문출판사를 운영해서 가난한 학생도 삼문출판사에서 일하여 번돈으로 수업받을 수 있게 했다고 합니다. 이승만,김소월,주시경 등의 졸업생이 있었습니다. 사진 속 교육이 ...
- 풍납토성은 한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흙으로 쌓은 고대의 성이다. 풍납토성의 북쪽과 서쪽에는포스팅 l20141101
- 판축법과 부엽법을 사용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판축법은 흙을 벽돌처럼 다져 쌓은 방법이고, 부엽법은 성벽의 중간 지점에 나뭇잎과 나무가지를 깔고 흙을 쌓는 방식이다. 풍납토성은 성벽 뿐만 아니라 해자, 목책등의 방어시설로 말갈과 낙랑국을 방허했다고 한다. 풍납토성에는 하수도 시설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 하수도를 토관이라고 한다. 풍납토성은 ...
- 이번 주말에 뭐 하시나요? 할일이 없으시다면 광화문에 와 보시는것은 어떠신가요? 지금 광화포스팅 l20141031
- 이번 주말에 뭐 하시나요? 할일이 없으시다면 광화문에 와 보시는것은 어떠신가요? 지금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서는 세계문자심포지아가 열리고 있답니다. 들어가면서는 2번째 사진에 나온 '문자 나무'가 보이고 계단 바로 전에는 그리스어를 배울 수 있는 공간이 있어요. 3번째사진에 나온 수학기호들도 그리스어고 4번째 사진은 제 이름을 그리스어로 한거랍니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내가 직접 만드는 디지털카메라, '빅샷'으로 찰칵찰칵어린이과학동아 l20141031
- 찰칵 찰칵! 오랜만에 공원에 나와 꽃과 나무, 새, 연못을 찍고 있었어요. 그런데 갑자기 화면 귀퉁이에서 번쩍번쩍 빛이 나더니 카메라가 뚝 꺼져 버리고 말았어요. 신나게 사진을 찍다 보니 그만 배터리가 닳아버린 거죠.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 코너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 우리문화재, 우리가 지킵시다! ‘2014년 한 문화재 한 지킴이 전국대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41027
- 알려드리겠습니다. 1.분무기를 이용하여 물 조금 뿌리기 2.물이 거의 마르면 나무결 따라 짚솔로 나무 문지르기 3. 나무결 따라 밀랍 바르기 4. 빵떡으로 윤기나게 문지르기 아, 후조당의 현판은 퇴계선생님의 친필이라고 합니다. 신기했어요. 오천군자리를 답사하고 바로 도산서원으로 넘어갔습니다. 도산 ...
- 나도 이제부터 문화재 지킴이 한 문화재 한 지킴이 전국대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41026
- 여러용도로 쓰였던 건축물을 볼 수 있었다. 그 중 도산서당은 퇴계선생께서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셨던 곳이라고 하니 마룻바닥과 나무기둥도 다르게 느껴졌다. 1박 2일간의 문화재 지킴이 대회를 참가해 보니 '우리의 문화재를 지키기위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열심히 노력하고 있구나'라는 걸 알게 되었다. 국립생태원장이신 최재천 교수님의 "알면 사랑 ...
- 공기정화식물 직접 만들어 보세요.기사 l20141026
- 신세베리아는 다른 식물과 달리 밤에도 어느 정도 산소를 발생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공기 정화 작용이 뛰어난 편이고 야자나무는 휘발성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채광량이 많은 곳에서 잘 자랍니다. 엄마와 함께 화원을 방문하여 공기정화식물을 구입해서 수반에 직접 공기정화식물을 직접 만들어서 키우고 있습니다. 만드는 ...
- K6047-1025-C25 11조 여수사랑탐사대 나무가 많아 매미의 천국이던 우리집 주탐사기록 l20141025
- K6047-1025-C25 11조 여수사랑탐사대 나무가 많아 매미의 천국이던 우리집 주위가 지난 여름은 특히 많이보이던 털매미의 애벌레는 많아보였지만 털매미는 이상하게도 잘 보이지 않았다 지난 여름 매미탐사를 정리하며~ ...
- 문화가 우리를 지킨다! 2014 한문화재 한지킴이 전국대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41024
- 닦는다. 이렇게 하면 나무가 매끈해지고 깨끗해진다. 빵덕걸레는 처음 보았는데, 진짜 빵 모양이었다. 과학적인 원리로 이렇게 나무가 깨끗해지고 매끈해지다니,1석2조인 셈이다.* 오천군자리에서는 숙박도 가능하다고 한다. 자세한 정보는 www.gunjari.net 을 참고하기 바란다도산서원(답사)(낙강) 이번에는 도산서원으로 답사를 ...
- 창덕궁 역사의 과도기의 흔적이 가슴한곳이 아프다. 전등위에 어울리지 않는 커텐. 자연지포스팅 l20141024
- 창덕궁 역사의 과도기의 흔적이 가슴한곳이 아프다. 전등위에 어울리지 않는 커텐. 자연지세의 모양따라 지은 창덕궁후원 옛날 그자리에 남아있는 700년의 회화나무 세월은 흘러가고 우리는 변하지만 나무들은 그자리에있다 ...
이전7767777787797807817827837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