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d라이브러리
"
월
"(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꽂는다고 상상해보세요. 대기 마찰이 없는 우주에서 우주선을 도킹시키는 게 더 수
월
할 겁니다.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 합체에는 무인기 공중급유 기술을 응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각자 카메라로 서로를 찍은 뒤 정확한 위치와 거리를 자동으로 계산해 접근하는 ‘영상인식’ 기술을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병원이다. 이곳 신약개발센터 소장은 재미한국인 과학자인 김백 박사다. 지난해 9
월
부터 에볼라 치료제 개발에 돌입하며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김 소장을 전화와 e메일로 만났다.에이즈 넘어 이번엔 에볼라“에볼라도 다른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유전자 복제를 통해 증식합니다. 에볼라 ... ...
[과학뉴스]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인류가 처음으로 무언가를 끄적끄적 그린 것은 언제부터일까.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 시절이던 50만 년 전부터 낙서 수준의 그림을 그린 것 ... 의도를 파악할 수 없다면, 그걸 예술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12
월
3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전령RNA 사라지는 과정 규명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교수가 전령RNA가 분해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새로운 효소와 과정을 찾아 학술지 ‘셀’ 12
월
4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는 전령RNA의 분해과정에서 아데닌 꼬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왔다. 그러나 김 교수팀은 이전 연구에서 분해 과정에 아데닌 꼬리 외에 유리딘 꼬리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제, 3시간 내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내성이 생겨 항생제가 듣지 않는 항생제내성균 일명 ‘슈퍼박테리아’는 의학계의 골칫거리다. 약을 써도 듣지 않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어 위험하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 ... 단축시킬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트랜스레이셔널 메디슨’ 12
월
17일자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의 모래 언덕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토성의 위성이자 태양계 제2의 거대 위성인 타이탄. 그 동안 타이탄은 액체 메탄으로 된 비가 내리고 황사가 불며 지표엔 메탄 호수가 가득할 것이라고 예상됐다. 지표에는 유 ... 타이탄의 조건에서도 충분히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12
월
8일자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전세계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26만9000t!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26만9000t에 이르는 미세 플라스틱이 현재 전세계 바다에 떠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6
월
스페인 연구팀이 추정한 양(약 4만t)보다 6~7배 많다. 에릭센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현재 바다 표면에 떠 있는 플라스틱만을 추정한 것일 뿐”이라며 “어류가 삼킨 훨씬 많은 미세 플라스틱은 전체 해양 ... ...
[Knowledge] 어느 날 멈춰있던 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처음 판을 움직였다 그렇다면 판구조운동의 핵심인 섭입이 언제 처음 일어난 걸까. 지난 9
월
호주 시드니대 패트리스 레이교수팀이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결과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200km가 넘는 두꺼운 대륙판이 중력에 의해 무너지며 주변 판들을 밀어내는 ... ...
[Hot Issue] 실감나는 영화 속 그래픽 비결은 수학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참여하며 2
월
까지 이어진다. 1
월
에는 수리과학과 한상근 교수가 암호에 대해 강연하며, 2
월
에는 엄상일 교수가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을 주제로 강의한다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붙은 사소한 얼룩처럼 보이는 지의류. 하지만 이들은 생태계의 일부로서 수억 년의 세
월
을 버텨왔다. 척박한 곳에서 언제나 가장 먼저 생명의 싹을 틔웠고, 가장 마지막까지 자리를 지켰다. 혹시 이들은 지금도 그저 묵묵히 버티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바위 위와 나무 위에서 숨죽인 채, 인간이라는 ... ...
이전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