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한류스타가 내게 문자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하얗고 조막만한 얼굴에 앙다문 빨간 입술, 어리숙한 행동마저 사랑스러운 이 남자. 요즘 가장 ‘핫’한 아이돌, 드라마 미생의 주인공 장그래를 연기하는 임시완이다. 금요일 밤만 되면 콩닥거리는 가슴을 부여잡는 소녀들에게, 임시완이 문자를 보낸다면 어떨까.꿈만 같은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 ...
- Epilogue. 태양광 유인항공기 3월 세계일주 도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김승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반기술실장은 “가장 중요한 기술적 과제는 초경량화”라고 말했다.“상용 태양전지는 소재 한계 효율인 23~25%에 이미 도달했습니다. 더 이상 효율을 끌어올리기는 어렵다는 얘기죠. 그 대신 전지를 최대한 많이 탑재하면서 소모 동력을 줄일 수 있도록 기체를 극 ... ...
- 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처음으로 병원이 텅 빈 모습을 봤습니다.”아프리카 라이베리아 수도 몬로비아 인근에서 에볼라 환자를 치료하던 의사들의 증언이다. 지난해 10월 세계보건기구(WHO)는 2015년 1월이면 서아프리카 전체에 에볼라 환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예측은 빗나갔다. 현재 서아 ...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에볼라와 싸우는 의사’ 세계 7개국뿐선발대는 한국 의료진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후송대책도 마련하고 왔다. 우리 의료진이 감염되면 즉시 유럽으로 이송해 치료를 하기 위해 미국 국무부가 운영하는 ‘에어 앰뷸런스’인 민간항공기 ‘피닉스 에어’와 계약을 맺었다 ... ...
- [과학뉴스] 혜성 탐사선 ‘로제타’ 2014년 연구 성과 1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인류 최초로 혜성에 탐사로봇 ‘필레’를 착륙시킨 탐사선 ‘로제타’가 국제 과학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4년 10대 연구 성과 중 1위를 차지했다(아래 사진). 사이언스 12월 19일자에는 올해 주목 받은 10대 연구 성과 전체 목록이 공개됐다.유럽우주국(ESA)이 개발한 로제타는 2004년 3월 지구 ... ...
- [과학뉴스] 긴 말은 않겠다. 그 땅콩. (사실은 마카다미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지난해 말부터 땅콩이라는 말로 전국에 널리 알려진 사물. 전국민이 입 안에 넣고 굴리고 씹고 있는데, 사실 그 사건의 조연은(주인공은 따로 있고) 땅콩이 아니라 전혀 다른 식물의 열매인 마카다미아다. 마카다미아는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는 프로테아목 프로테아과 마카다미아 속 나무의 열매다.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0“나는 앞으로 다가올 겨울 내내 인듀어런스 호의 발이 묶이고 말 것을 확신할 수 있었다. (중략) 물개들도 사라졌고 새들도 우리를 떠났다. 맑은 날에는 멀리 수평선 너머로 육지가 보였지만, 지금 현재로서는 우리가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곳이었다. 배를 정박시킬 만한 장소를 지나쳤던 것에 대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청소년 5명 중 1명 “굶는 다이어트 경험”지난해 중·고등학교 청소년 8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30일 동안 단식이나 식사 후 구토 등의 경험이 있는가’ 하는 질문에 남학생은 12.9%, 여학생은 21.2%가 그렇다고 답했다(2013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중·고등학생 10명 중 1~2명은 이미 극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인공위성을 직접 만나기 위해서는 꽤나 까다로운 과정을 거쳐야 했다. 머리와 옷, 신발에 방진복을 덧씌우는 것은 기본이었고, 촬영장비는 모두 알코올로 닦았다. 위성을 멋지게 촬영하기 위해 SUV 차량에 가득 채워온 장비는 아무것도 반입할 수 없었다. 모든 채비를 마친 뒤에는 소독부스에 들어가 ...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Q 어떤 것을 배우나요?원자핵공학과는 ‘BMW’입니다. 유명 외제차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 있고(brave), 미친(mad), 감동이 있는(wow) 학문입니다. 그만큼 폭발적으로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지구에서 가장 흔한 수소를 이용해 핵융합 에너지를 만들고, 우라늄 1g으로 석탄 3t이 만들 ... ...
이전7797807817827837847857867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