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쏟아지는 정보와 부족할 것 없는 연구환경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의 학도들을 위한 인
간
적인 천문학의 방향을 명쾌히 갖지 못한 한 미래의 천문학자는 부끄러이 펜을 놓는다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지금은 혈액의 각 성분을 따로 추출, 필요한 성분만 수혈하는 성분수혈시대. 아울러 교차수혈 자가수혈이 행해지고 인조혈액 대용혈액 등도 속속 개발되고 있다태고 이래로 혈액은 생 ... 성공을 거두었다. 교환수혈 결과 다량의 비정상 거대 글로블린이 환자의 몸에서 빠져나
간
것이다 ... ...
모로코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먼저 빵과 수프가 나오고 이어서 콩요리 야채요리가 등장하고 마지막으로 그 음식점의
간
판 요리가 나왔다. 쌀을 갈라서 올리브유에 볶은 밥 위에 홍당무 무 양고기 등을 스튜식으로 익혀 올려놓은 음식이 큰 접시에 담겨져 나왔는데 우리 입맛에도 잘 맞았다.또 하나 아랍인들의 참모습을 엿볼 수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열심히 공부하는지 모르는군. 우리 학생들은 하나라도 더 배우기 위해 시험도 정규시
간
이 아닌 주말에 보기를 자청한다네."여기까지는 사실이다. 그러나 미디어연구소의 한 교수가 토로하듯이 "새로운 학문을 창조하는 것은 우리 교수들이 아니랍니다. 대학원 학생들이지요. 신경생물학 전산학 ... ...
환경모니터링으로 주목받는 중금속의 표본실 새 깃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들어 있기 때문에 그 물을 분석해 보면 그 새가 살고 있는 지역의 대기오염 정도를
간
접적으로 알아 볼 수도 있다.이밖에도 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박제표본으로부터 연대별로 소량의 깃털을 채취해 분석하면 각 중금속 원소에 대한 오염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알아 볼 수 있다. 이것은 장래의 ... ...
동물도 좌절하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행동을 수시
간
씩 할 동안엔 뇌에서의 신경기능이 마비된다고 주장한다.동물이 인
간
처럼 '지루함'이나 '좌절감'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많다. 그러나 적어도 지금까지의 연구로 유럽에서의 가축사육방식이 기존의 가둬기르기에서 방목형태나 그와 유사한 대안형태로 변화하리라는 것 ... ...
말하는 마이크로칩 선보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발명자인 ISD사의 리처드 심코회장은 "마이크나 스피커에 달기만하면 방송이 시작된다"고
간
단히 사용법을 설명한다. ISD사는 목소리 이외의 아날로그 데이터도 읽을 수 있는 신제품과 함께 더 큰 용량의 ISD칩 개발에 힘쓰고 있다. 물론 지금도 여러개의 칩을 연결해 기억용량을 늘릴 수 있다.현재 ... ...
지역주민 과학교실 되는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이 강의는 MS-DOS와 워드프로세서 GW-BASIC 등 컴퓨터를 운용할 수 있는 기초를 가르친다. 그
간
컴퓨터를 이해하지 못해 자녀들과의 대화에 소외감을 느꼈던 어머니들이 특히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 방학 중엔 학생들의 수강신청도 줄을 잇는다.국립중앙과학관 조성과의 배재웅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위성과 고리의 차이행성과 위성 사이에는 조석력이 작용한다. 지구의 바닷물에 조석
간
만이 생기는 것도 달의 조석력 때문이다. 그런데 위성이 행성으로부터 어떤 거리 한계 내에 들어오면 조석력 때문에 그 위성은 부서지고 만다. 이 거리의 한계를 '로시(Roche)한계'라 하는데 토성의 고리들은 이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크게 우려된다는 것이다.그러나 지난해 10월 청와대 정책조정회의에서 이러한 부처
간
이견은 세부계획 및 사업실시단계에서 반영하기로 하고 인공섬건설계획은 부산시 원안대로 확정됐다.이에 대해 오건환(부산대·지질학) 박용섭(한양대·해운경영) 윤철현(동아대·도시공학) 등 일부 교수들과 ... ...
이전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