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밟도록 하는 하노이의대 규정 상 양의와 전통의학 모두에 정통한 팜 박사가 사상의학에
큰
관심을 보인 것.그는 “졸업 후 내과를 선택했지만 전통의학이 환자에게 훨씬 유용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며 “대신 경험으로만 전해지는 전통의학을 표준화하고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을 느꼈다”고 ... ...
대한민국 1% 과학영재 되는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완전히 분석했다.입시관계자나 합격생은 ‘과학동아’가 과학고·과학영재학교 입시에
큰
도움이 된다고 입을 모았다. 올림피아드 6관왕에다 1학기 중간고사에서 전교 1등에 오른 서울과학고 1학년 김정한 군은 ‘과학동아’를 3년 넘게 봐온 열혈독자이고, 올해 KSA에 과학 수석으로 입학한 KSA 1학년 ... ...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분자식 KOH 탄산칼륨의 가성화, 염화칼륨 수용액의 전기분해로 생성되는 흡습용해성이
큰
무색 고체 가성칼리라고도 한다 소석회라고도 한다 보통은 물을 함유하는 무색 분말이지만 수용액에서는 6방결정계 널빤지모양 결정으로 얻는다 산화칼숨에 물을 작용시키는 조작을 소화(消和)라고 하며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아프리카에 사는 펭귄을 보기 위해 이 작은 해변을 찾는다. 이곳의 펭귄은 황제펭귄처럼
큰
놈들이 아니라 키가 어른 무릎 높이 정도로 작은 녀석들이다. 울음소리가 당나귀와 비슷해 ‘자카스 펭귄’이라 부르는데, 똑같은 소리로 우는 남미에 사는 펭귄과 구분하기 위해 ‘아프리카 펭귄’이라 ... ...
블랙잭 불패의 비밀 '카드 카운팅'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때문이다.블랙잭 팀은 카드 카운팅 기술로 단 하룻밤 사이에 수십만 달러를 벌고, 더
큰
돈을 벌고 싶은 유혹에 빠진 이들은 주말마다 라스베이거스를 드나든다.하지만 카지노 측의 베테랑 보안요원이 이들의 비밀 행각을 눈치채 면서 최강의 블랙잭 팀은 위기를 맞는다. 이들은 위기를 벗어날 수 ... ...
INTRO 지상 최대 '입자 쇼' 개막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정면충돌한다. 이 순간 발생하는 에너지는 14TeV(테라전자볼트, 1TeV=1012eV).LHC가 이렇게
큰
에너지를 만드는 이유는 힉스라는 입자를 찾기 위해서다. 힉스는 질량의 원천에 관한 열쇠를 쥐고 있다. 전자의 질량이 왜 9.10938200×10-31kg인지, 양성자의 질량은 왜 1.67262171×10-27kg인지에 대해 현재 물리학자 ...
2. 내 짝은 초대칭 입자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남기지 않고 빠져나간다. 때문에 LSP를 직접 관측하는 일은 불가능하다.대신 에너지가
큰
입자들의 궤적과 LSP가 주는 결손 에너지를 추적해 간접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LHC 실험에서 이런 특징을 갖는 충돌 사건을 찾아내는 일이 초대칭 입자를 찾는 첫걸음이다.초대칭 입자의 존재를 확인한 뒤에는 ... ...
2. 세상에서 가장 비싼 '반물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10억분의 1g을 만드는 데 수조 원이 넘었다고 한다. 도대체 반물질이 뭐길래 그렇게
큰
돈을 들여 만들고 연구하는 것일까? 여기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주의 구조를 살펴봐야 한다. 우리가 아는 것은 4.6%뿐현재 우주는 정체를 전혀 알 수 없는 암흑에너지가 72%를, 암흑물질이 23%를 차지하고 있다.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mm보다 9% 줄었다. 중간크기의 땅 핀치 가운데
큰
씨앗을 먹는데 유리한, 부리가
큰
그룹은
큰
땅 핀치와 경쟁으로 대부분 죽었지만 작은 씨앗을 먹는데 적합한 부리가 작은 그룹은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죽은 새들의 위를 부검한 결과 모두 텅 비어 있었다”며 “먹이 ... ...
우주 신비에 다가가는 초대형망원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동부는 계절풍 지대로 천문학 입장에서는 최악의 기후지대에 속하기 때문에 더 이상
큰
망원경을 세우기는 어렵다. 사막이나 고원 지역이야말로 천체관측에는 최적지다. 일본도 본토에는 1.8m 망원경까지만 배치했고 하와이에 8.2m 망원경을 건설해 천문대를 운용하고 있다.국내 천문학계 의견을 ... ...
이전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