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위에 물건을 놓을 때는 ‘놓다’라고 표현한다. 두 표현은 한국어와 영어가 같다. 그런
데
반지를 손가락에 ‘넣을’ 때는 영어는 역시 ‘put in’으로 표현하지만 한국어는 ‘넣다’가 아닌 ‘끼다’라는 표현을 쓴다. 또한 한국어는 탁자 위에 물건을 놓을 때는 ‘놓다’라고 하고 벽에 물건을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쓰이는 소금이 전시돼 있다. 조선시대 로켓 화살포였던 신기전의 폭약을 제조하는
데
소금이 쓰였다는 점과, 옷감에 염색을 할 때 염료가 잘 흡수되도록 도와주는 매염제 역할을 소금이 해낸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팔만대장경이 보존된 해인사 창경각의 지반을 조성할 때도 해충을 막고 습기를 ... ...
시각 장애인 눈 대신하는 ‘전자 지팡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시각 장애인의 손에 촉감 정보를 제공해 낯선 길을 쉽게 찾도록 돕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스라엘 텔 아비브대 오릴 하라브 박사팀은“집 밖에 있는 사물의 촉감을 생생 ... 집까지 오는 체험을 할 수 있다”며 “가야 할 장소를 자신있게 고르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리튬이온전지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선 매장된 광물 상태의 리튬을 확보하는
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 연구만 한다고 리튬이온전지 시장을 차지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얘기다. 리튬은 일부 국가에 쏠려서 매장돼 있기 때문에 이 국가들과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뜻이다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감고 보면 손가락이 오른쪽에 있고 왼쪽 눈을 감으면 왼쪽에 있듯이 카메라 정면 가운
데
가까이 있는 물체는 왼쪽 렌즈에서 찍힌 사진에는 오른쪽에, 오른쪽 렌즈에서 찍은 사진은 왼쪽에 있다. 신제품을 설명하기 위해 내한한 개발자 일본 후지필름의 후지모토 신이치 책임연구원은 “3D 카메라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원리를 설명하며 눈을 반짝였다. 연구단이 마이크로RNA를 이용해 불치병을 해결하는
데
한 걸음 나아갈 것이라는 확신이 드는 순간이었다. “마이크로RNA처럼 소박한 꿈으로 한국 과학에 기여할 터” 김빛내리 단장 1992년 서울대 미생물학 학사 1994년 서울대 미생물학 석사 1994년~1998년 영국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한양대의 경우 이 세 가지 범주 안에서 논제를 출제하고 있다. 과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고 근본적인 능력인 논리적 추론능력과 자연계의 언어라 할 수 있는 수리정보에 대한 이해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 한양대 논술시험의 목표인 셈이다. 따라서 한양대 논술은 먼저 시험의 분위기를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고려해 그 절대성과 정통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비정통의 의미를 복원하는
데
도 힘써야 한다. 포스트모던 철학의 이론적 토대를 세운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의 견해를 패러디하면 ‘과학적 지식은 비과학적 지식에 호소해야만 참된 지식임을 입증 받을 수 있다 ... ...
돼지 없이는 못 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전세계가 돼지 인플루엔자, 아니 인플루엔자A 때문에 술렁이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괜히 ‘돼지’라는 말이 들어가면 움찔하게 됩니다. ... 꼼꼼히 확인해야겠지요. 모쪼록 장기 이식을 기다리다 생명을 잃어가는 환자들이 새 생명을 얻는
데
에 제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공식을 짧은 수업 시간 동안에 전부 다 익히는 것은 힘든 일이야. 그러다 보니 외우는
데
치우쳐서 수학이 재미 없어지지. 그럴 때 기계적으로 문제를 푸는 것보다 직접 체험해 보는 게 좋아. 몸으로 느끼면 직관적인 인식 능력을 기를 수 있거든. 종이로 정삼각형 접기 종이는 도형을 공부할 때 아주 ... ...
이전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