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불러다 놓고 술을 마실 때에는 민망할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또 다른 “고양이를
구조
”하겠답시고 이리저리 고양이들이 자주 보이는 거리를 돌아다니는 형편이었다.우리우리스족의 경기장에서 티피피는 고양이의 이 모든 사연을 정신 대 정신으로 이해하게 됐다. 그리고 그 생각은 티피피의 ... ...
[특집] 수학으로 살아남아라! 무인도의 법칙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 Part2. 미션 2. 나뭇가지로 집을 지어라!Part3. 미션 3. 빛으로
구조
신호를 보내라! Part4. 인터뷰 윤승철 탐험가가 밝히는 무인도에서 ... ...
[특집] 미션3. 빛으로
구조
신호를 보내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정말 대단하군요. 이제 마지막 미션입니다. 모스부호표와 LED 조명을 활용해 본부로
구조
신호를 보내세요. 당연히 휴대전화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휴대전화도 인공위성도 없던 19세기 중반, 장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했던 것은 바로 ‘모스부호’였습니다. 점(·)과 선(-)만으로 문자를 표현하는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집
구조
를 바꿔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전찬수 연구원팀이 직접 실험해 봤어요. 우선 벽식
구조
집 모양의 실험실을 기둥식
구조
로 약간 변경시켰어요. 천장과 벽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6cm 두께의 보를 설치한 거예요. 이후 위층 바닥에 충격원을 떨어뜨려 소음을 측정했어요. 그 결과, 소음이 82.7dB에서 79.2dB로, 3dB 정도 줄어들었다는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멸종을 막기 위해 서식지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일에 힘쓰고 싶어요. 새를 몇 마리
구조
해도 아파트가 하나 들어서면 수천 마리가 죽거든요. 멸종을 막기 위해 계속해서 좋은 동물원을 만들어 동물의 소중함을 알리고 싶어요. 어과동 독자 여러분도 우동수비대로 활동하며 동물원이 동물사를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혼돈은 가능할까요? 크고 무질서한
구조
속에서 작은 조화로운 부분을 항상 찾을 수 있는지 연구하는 분야를 ‘램지 이론’이라고 합니다. 1928년 영국의 수학자 프랭크 램지는 사람이 충분히 많다면 그중 서로 모두 아는 관계인 r명 혹은 서로 전혀 모르는 관계인 s명이 반드시 있다는 ‘램지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학문을 찾고싶었던 것 같아요. 사회 속에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수학으로 풀 수 있는
구조
가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사회학 공부를 시작했어요. [기자] 모두가 꼭 수학을 배워야 할까요?[강정한 교수] 요즘은 평균 수명도 길어지고, 하나의 직업으로 먹고살기 힘들다고 하잖아요? 살아가면서 삶의 ... ...
[코로나19 업데이트] 전파 빠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장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메드아카이브’ 논문에서 주장했다. 145번 아미노산 결손은 스파이크 단백질 표면
구조
를 변화시켜 항체 효능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고 GISAID는 추정했다.마지막 변이인 P681H는 681번 아미노산이 프롤린(P)에서 히스티딘(H)으로 바뀐 변이다. 이 아미노산은 스파이크 단백질 끝 부분에 위치하지는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구조
를 이용해 2진법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물리적으로 안정적인
구조
를 데이터화하는 만큼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보관하는 데 유리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프로젝트 실리카 기술을 이용하면 클라우드에 저장된 정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신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엄 교수는 시냅스를 구성하는 뉴런의
구조
를 형성하는 ‘골격단백질’에 주목하고 있다. 골격단백질은 시냅스에 존재하는 많은 단백질을 응집시키고 신호 전달을 매개하는 단백질이다. 엄 교수는 “시냅스에는 1000~2000개의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이들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