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또 고양잇과 동물은 서로 게놈 서열이 비슷하고 염색체 개수가 같아 교배도 가능하다. 국내 연구진이 호랑이 게놈 지도를 이용해 백호랑이, 사자, 설표범의 게놈 지도를 ‘리시퀀싱(한 종의 게놈 지도를 기준으로 유전적으로 가까운 다른 종의 게놈 지도를 간접적으로 알아내는 것)’ 할 수 있었던 ... ...
- [이달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발전량은 1451기가와트시(GWh)다. 이는 2017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4.4%를 차지한다. 국내 총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2% 정도다. 김 책임연구원은 “그동안은 발전사별로 지정된 중유발전기 다섯기에만 바이오중유를 대체 연료로 사용했다”며 “전면보급이 시행되면 14기 중유발전기 모두에 ... ...
- Part 3. 유럽 2024년 문 빌리지 건설 ‘문레이스’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찍어내야 할 가능성이 높다. 20kg 달 로버 설계, 한국도 ‘문레이스’ 뛰어들까 국내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AIST 등이 문레이스 참여를 검토 중이다. 페레이라 프로젝트매니저는 “한국 전문가들과 달 탐사를 위한 사물인터넷이나 차세대 드론, 스마트팩토리 등을 ...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미세먼지의 독성이 어떻게 다른지 아직 모른다”며 “이 연구를 통해 중국발 미세먼지가 국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Q 미세먼지 농도, 어떤 출처 믿어야 하나? 현재 서울의 경우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운영하는 도시대기측정소 25곳에서 ...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그렇게 이번에도 팀원들의 불철주야 노력 끝에 2015년 7월 7t급 액체로켓엔진 시스템의 국내 최초 연소시험에 성공했다. 75t급 8326초 시험 동안 사고 zero 성공의 기쁨도 잠시, 이번에는 엔진 지상 연소시험과 고공 연소시험 설비가 우리 팀을 기다리고 있었다. 엔진 지상 연소시험설비는 1단에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연구는 최근 재료공학부 성과의 일부일 뿐”이라며 “재료공학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 국내 산업 발전을 책임지는 일인 만큼 교수진 모두 각 분야에서 최고의 성과를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 교육프로그램 - 미대와 컬래버레이션 수업 시도 동일한 철이라도 어떤 재료는 단단하고, 어떤 ... ...
- [과학뉴스] 우리 기술로 만든 천리안2A호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지난 12월 4일, 오전 5시 37분(현지 시각)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아리안-5ECA 발사체에 실린 천리안2A호가 발사됐어요. 발사 약 34분 후, 발 ... 우주 기상도 탐지할 예정이에요. 태양 흑점의 폭발이나 고에너지 입자 등을 측정해 국내외 비행 승무원에게 유용한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랍니다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발자국이라는 것을 바로 알아차렸다. 필자는 2006년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추도에서 국내 최초로 ‘드로마에오사우리푸스 함안엔시스(Dromaeosauripus hamanensis)’라고 이름 붙여진 랩터 공룡의 발자국 화석을 발견했고, 이어 남해군 창선면 가인리 지역에서도 랩터 공룡의 발자국을 발견한 적이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차지하고 있었다. 결국 그는 꿈을 이루러 떠나기로 작정했다. 그리고 유학을 준비하면서 국내 로봇 벤처인 로보티즈에 들어가 동료들과 함께 30cm 크기의 교육용 휴머노이드 ‘바이올로이드’를 만들었다. “바이올로이드를 개발한 이후 제주에서 열린 로봇학회에서 데니스 홍 당시 버지니아공대 ...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국내 최초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게임을 소재로 한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증강현실은 스마트폰을 통해 보이는 현실 이미지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얼마 전 신드롬을 일으킨 모바일 게임 ‘포켓몬고’가 AR을 이용한 대표적인 콘텐츠다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