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증
공헌
증정
기부
증여
공연
제시
d라이브러리
"
기여
"(으)로 총 1,69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민족의 염원을 보관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부르고 있지요. 팔만대장경은 우리나라의 인쇄기술과 출판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목각판에 열과 습기로부터 나무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옻칠을 한 세계에서 유일한 대장경이기도 합니다.이렇듯 팔만대장경 자체도 훌륭한 문화재지만 더 훌륭한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런 효소의 기질(재료)로 이용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는 Z-DNA가 전체 DNA의 변형에도
기여
한다는 가설로 이어진다. 현재 이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하고 있다. Z-DNA의 역할은 무엇일까. 리치 교수는 “Z-DNA가 생체내에서 만들어진다면 생물체가 이를 이용할 용도를 진화과정에서 분명히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창시자는 히파르코스(B C 150년경)로 알려져 있다 그 후 메네라오스가 발전시키는데
기여
했다 구면 위에서 동일 대원상에 있지 않은 3점을 A, B, C라 하고, 이 3점을 대원의 열호(劣弧) AB, BC, CA로 이을 때 생기는 삼각형 천구상에 투영된 각 천체의 위치 · 운동 · 크기 등을 연구하는 천문학의 한 분과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동네 라디오 조립 도맡던 손재주꾼오우택 교수가 세계 최초로 캅사이신채널을 밝혀낸데
기여
한 일등공신은 무엇보다 ‘패치클램프’(patch clamp)라는 기술이다. 그가 패치클램프를 처음 접한 것은 1994년 미국 시카고의대 생리학교실에 교환교수로 갔을 때였다. 유리로 가늘고 긴 전극을 두 개 뽑아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출현하는 실마리를 열었으며 특히 트랜지스터 · 터널(에사키) 다이오드의 발명에 직접
기여
했다게르마늄산염게르만의 GeH4의 H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킬기(基) · 알릴기 · 할로겐 등으로 치환된 것1789~1854 독일의 물리학자 전류 저항과 관련한 「옴의 법칙」의 발견자 에를랑겐 태생 자물쇠공인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교수의 경쟁과 협력이 이 분야를 오늘날 응용이 가능할 정도로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기여
를 했다고 생각한다.청정화학 주도한 실용적 반응그럽스 교수의 수상으로 캘리포니아공대 출신 과학자 가운데 31명이 노벨상을 받았다. 노벨화학상 이후 노벨평화상까지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 라이너스 ... ...
2005 노벨상 세상을 사로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매진하던 수상자들의 업적은 이제 응용기술로도 활짝 꽃을 피우며 인류의 발전과 복지에
기여
하고 있다. 꾸준한 지원과 헌신을 통해, 가까운 미래에 한국 과학자에서 수상자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올해 노벨 물리ㆍ화학ㆍ생리의학상을 받은 과학자들과 그들의 업적을 살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통신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파장다중분할 광통신기술을 발전시키는데도 큰
기여
를 할 것이다.정밀 광주파수 측정 기술은 물질과 반물질의 관계를 연구하는 기초 물리학 연구에도 매우 중요하다. 수소·반수소 원자 연구가 그 대표적인 예다. 또한 기초 물리상수들이 시간에 대해 정말 변하지 ... ...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축적되고 있는 아르고 자료를 통해 열용량의 장기 변동을 조사하면 태풍 예측에 상당히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아르고 프로젝트의 목표는 장기적인 전지구 기후예측력 향상이다. 영화 ‘투모로우’에서 소개됐던 것처럼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양의 수직 열순환이 바뀜으로써 급격한 빙하기가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연구팀은 이 500만개의 차이가 인간과 침팬지가 서로 다른 모습을 갖는데 직접적으로
기여
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전체 30억 개의 염기 서열에 비하면 소수에 불과하다.두 종의 단백질도 서로 비슷했다. 사람과 침팬지는 단백질 1개당 평균 아미노산 2개 정도의 차이를 보였을 뿐이며 29%의 단백질은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