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곤충
충
버러지
버그
벌러지
새끼벌레
새끼
d라이브러리
"
벌레
"(으)로 총 850건 검색되었습니다.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먹는 송충이와 배추잎을 먹는 배추
벌레
의 성격이 다르다. 하물며 만물의 영장인 인간의 경우는…우리는 상대방의 얼굴 생김새를 보고 그 사람의 성격과 운명을 알아내기도 하고 손바닥의 손금을 보고 성격과 인생을 점치기도 한다. 또 그 사람이 주로 먹는 음식의 재료와 맛에 따라 성격이 달라질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남기에 부적합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캄브리아기 지층에서는 연한 몸을 가진
벌레
화석들이 발견되고 있다. 또 수많은 진화의 단계마다 화석으로 남기에 부적합한 생물만 발생했다고는 믿어지지 않는다. 그렇다면 공룡의 조상도 화석이 될만한 몸의 구조를 갖지 못해서 발견되지 않는다는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수면 밖으로 내밀어 숨을 쉰다. 아가미를 통해 숨쉬는 곤충도 있다. 예컨대 실잠자리 애
벌레
의 꼬리 끝에는 물고기와 구조가 다른 아가미가 붙어 있다. (6) ③ 말미잘은 대표적인 강장동물인데 촉수에 있는 자세포로 물고기를 마비 시킨 다음 촉수로 물고기를 끌어들여 강장에 가두어 버린다. 그러나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여러 우주들(우리가 직접 관측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격리된 우주들) 사이에 있음직한(?)
벌레
구멍들의 연결이 과거에 이루어져서 우리 우주의 현황을 나타낸다는 견해도 등장하고 있다.하여튼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많은 문제를 해결해준 한편 하나의 더 큰 숙제를 우리에게 남긴 셈이다 ... ...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날카로운 가시를 재빨리 나무껍질에 걸어 밑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투구
벌레
(장수풍뎅이)의 성충은 7,8월에 나타나 주로 야간에 활동하며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버드나무 등의 즙을 빨아먹고 산다. 가끔 그들은 등불을 향해 무작정 날아들기도 한다. 여름밤에 풍뎅이들이 '딱'소리를 내며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운동을 거듭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진행전자기파 / 몸통의 밀도변화를 활용배추
벌레
나 지렁이는 몸통의 밀도변화(밀도파)를 이용해 전진한다. 이를 모방하려면 신축이 용이한 작은 부도체원통의 단면에 수개의 전극을 설치하고 진행전기파를 걸어주면 된다.이외에도 정전기의 인력과 척력을 ... ...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주로 지상(地上)생활을 한다. 그러므로 발가락과 발톱이 억세다. 그들은 땅을 파헤쳐 땅
벌레
를 찾아 먹기를 좋아한다. 식물의 뿌리도 캐 먹는다. 그들은 풀씨나 곡식을 주로 먹지만 때로는 연체동물 파충류 등을 잡아먹기도 한다.꿩은 몸에 비해 빈약한 날개를 갖고 있으므로 멀리 날지 못하고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장력은 가장 무거운 중성자별의 중심압력(태양의 경우의 ${10}^{16}$배)에 해당하므로
벌레
구멍의 소재가 될만한 강한 건축재는 결코 존재할 수 없다는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가 얻어졌다. 우주는 죽음으로 향하고…검은 구멍은 우주의 역사와 관련을 가지고 있다. 1854년 독일의 물리학자 폰 헬름홀츠 ... ...
PARTⅠ 대폭발로 시작된 우주 원자보다 작은 「우주 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됐다. 어느 경우든
벌레
구멍은 불안한 존재로서 곧 사라지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벌레
구멍이 사라지면 아기 우주로부터 어미 우주로 연락할 방법은 영영 없어지게 된다.아기 우주는 또 다시 자신의 아기 우주를 낳을 수도 있다. 인플레이션이 계속된다면 우주는 순식간에 아기 우주, 손자 우주,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나왔다. 그 입구에서는 커다란 대합과 긴 손가락을 가진 박테리아, 다리가 여덟개 달린
벌레
도 발견되었다.그렇다면 열수배출구는 해양에만 있고 강이나 호수 등의 담수(淡水)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이 의문은 꽤 오랫동안 상당한 논란을 불러 일으켰는데 최근에 그 해답이 나왔다. 뉴욕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