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배달
송달
인솔
보도
납품
명도
d라이브러리
"
인도
"(으)로 총 1,5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이해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질 수 있는 거지.수 감각이 가장 뛰어났다고 알려진 사람으로
인도
의 수학자 라마누잔을 꼽을 수 있어. 라마누잔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난 탓에 정규교육을 받지 못하고 혼자 수학을 공부했어. 그가 수학자로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영국의 수학자 하디 덕분이야.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보호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23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경찰청의 지시로차도와
인도
를 구분하기 시작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안전한 세상을 만드는 수학의 원리. 참 신기하죠? 이 세상은 수학으로 가득 차 있답니다. 오늘 배운 원리들을 가족과 친구에게 전해 보세요. 수학과 함께라면 모두 더욱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전해져 현지 발음인 ‘장켄봉’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인도
에도 비슷한 놀이가 있다.
인도
에서 가위는 쥐, 바위는 호랑이, 보는 코끼리를 상징한다. 쥐(가위)는 코끼리(보)의 콧구멍 속에 들어가 질식하게 만들지만 호랑이(바위) 앞에서 꼼짝을 못 한다. 힘센 호랑이도 덩치 큰 코끼리에게는 못 당한다. ... ...
Part 2. 세계 곳곳에서 쓰였던 χ의 다양한 이름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노력했지. 그는 '수'를 뜻하는그리스 문자를 αριθμσς를 줄여 ς'라고 썼어. 7세기경
인도
의 브라마굽타는 미지수를 'ya'라고도 썼대. 디오판토스의 책은 중세시대까지 아주 적은 수의 사람에게만 알려졌어. 그러니 미지수를 표현하는 방법도 잘 알려질 수 없었지. 15세기 중반 독일의 구텐베르크가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여기는 17세기 조선시대 과거 시험장. 딩~ 하는 징소리와 함께 문제가 발표됐다.시험장에 모인 선비들은 한지 위에 문제를 단숨에 써 내려갔다. ‘六千七百八十九(육천 칠백 팔십 ... 이로부터 새로운 계산법을 발명하기도 했다. 그런 의미에서 0을 발견한 영예는
인도
인에게 돌아갔다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 품종은 중국 전체 녹두 재배면적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게 됐다. 토착병이 워낙 강한
인도
를 제외한 모든 아시아 국가에 수출됐고, 한국에도 ‘선화녹두’라는 이름으로 들어왔다. 1990년대 아시아채소연구개발센터의 한 경제학자는이 녹두 품종이 연간 1억 달러(약 1300억 원) 이상의 추가 이익을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게 바로 이 때문이다.5가지 간염 가운데 유일한 인수공통 전염병이 E형간염이다.
인도
와 태국, 파키스탄처럼 위생상태가 좋지 않은 나라에 많은 전형적인 후진국형 질병이다. 임산부가 E형간염에 걸리면 사망률이 20~30%에 이른다 ... ...
여행지에서 먹는 물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여름에
인도
로 여행을 떠나는 박병규 씨는 이국적인 풍경을 카메라에 담아올 생각에 마음이 들떠 있다. 문제는 그가 타지에서 물을 마시면 배탈이 심하게 난다는 사실. 게다가 이번에는 식수를 구하기 힘든 지방을 주로 다닌다. 박 씨뿐이 아니다. CJ 제약사업본부가 홈페이지 회원 9100명을 대상으로 ... ...
[핫이슈]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남일본해를 지나고 중국 상하이, 쓰촨(四川)성을 지나 히말라야산맥 아래 부탄, 그리고
인도
까지 광범위한 지역에서 개기일식을 볼 수 있다. 이번 개기일식의 특징은 지속 시간. 최대 6분 44초로 매우 길다.근래 들어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개기일식을 볼 수 있는 기회이고, 시기적으로도 ... ...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달 탐사선을 2020년 이전에 개발하는 일은 어렵지 않다는 반응이 나온다. 권 교수는 “
인도
, 유럽 등 다른 국가의 발사체를 활용할 가능성을 열어 두고 달 탐사선 개발을 빨리 진행하는 게 나을 것”이라고 밝혔다.달 궤도에서 지구 자기장 최초 관찰다른 나라가 손대지 않은 달 탐사 분야를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