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d라이브러리
"
칼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의 기본물질 쿼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가상의 입자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중성자가 발견되던 그 해에 미국의 물리학자
칼
앤더슨(1905-1991)에 의해 발견됐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cosmic ray)을 연구하던 앤더슨은 우연히 전자와 질량이 같지만 (+)전하를 가진 입자를 발견한 것이다.원래 양전자를 발견하려고 꾸준히 노력해온 학자는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알려주었다. 지금은 멸종된 매머드와 마스토돈(매머드와 흡사함), 긴뿔 들소, 스밀로돈(
칼
이빨 고양이) 등의 대형동물의 뼈가 발견된 것이다. 특히 스밀로돈의 뼈가 매우 많아 당시 이 동물이 남·북아메리카에 폭넓게 분포했음을 보여줬다.타르가 아닌 얼음 속에 묻혀 화석이 되는 경우도 있다. 얼음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물건이 된 것이다. 또 폰타나와 같은 화가는 화면이 2차원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칼
로 화면을 찢기도 한다(29).현대미술가들에게 그림은 그 위에 무엇을 그리는 장소가 아니라 하나의 물체가 된 것이다. 이게 바로 20세기 후반 현대미술이 걸어온 길이었다 ... ...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탄생한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1939년 2차대전이 일어나자 영국에서 제법 유명하다는 과학자들은 거리에서 사라졌다. 그들이 비밀리에 모인 곳은 거대한 빅토리아식 영 ... 보여주는 출력장치를 갖춘 ‘Z1’이라는 컴퓨터를 완성했다. 한편 그는 1945년 ‘플란
칼
쿨’이라는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기도 했다 ... ...
영혼, 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과학자들은 터널을 경험하는 이유에 대해 다양한 이론을 내놓았다. 가령 천문학자인
칼
세이건은 터널의 경험이 자신의 탄생을 다시 체험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터널을 어머니의 산도에 비유한 셈이다. 그러나 세이건의 아이디어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태아가 세상에 나오기 위해 고통스럽게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알데바란에 도착할 예정이다. 그림엽서는 알루미늄면에 도금을 한 형태인데, 미국
칼
세이건이 아이디어를 내고 당시 부인이던 린다가 그림을 그렸다.그림 왼쪽 위에는 우주에 가장 많을 것으로 생각되는 수소원자를 표현했다. 중성수소가 내는 전파의 파장(21cm)을 길이의 단위로, 주기(14억2천만분의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힘든 고경도 재료는 박막화함으로써 정밀 가공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칼
을 만든다고 하자. 이 경우 직접 다이아몬드 결정을 만들어 붙이거나 박막으로 제조해 입히는 방법이 있다. 다이아몬드를 인공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원재료가 되는 탄소를 높은 압력과 높은 온도에서 가공해야 ... ...
1. 관상 어디까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복잡한 과정과 여러 유전자의 복합으로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범죄자 얼굴?여기서
칼
융이 인간의 일반적인 성격유형을 분류하고 심리유형론을 세우면서도 그것을 신체적인 특징과 연관시키지 않았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인간 개개인의 특질을 몇가지 유형으로 제한했다는 점에서 많은 ... ...
새로운 시력교정술 인택트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생기는 현상으로 각막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교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레이저나
칼
로 각막을 깎아내는 방법(엑시머레이저와 라식수술)을 사용해왔으나, 이런 방법은 시력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거나 야간 눈부심, 사물이 뿌옇게 보이는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고도근시일 ... ...
신화속의 태양계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바람을 피워 헤르메스를 낳은 셈이다.로마인들은 헤르메스를 머큐리(Mercury)라고 불렀다.
칼
세이건은 로마인들이 수성을 신들의 심부름꾼인 머큐리라고 부른 것은 태양에서 멀리 떨어지는 일이 없는 빠른 행성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