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뉴스
"
개체
"(으)로 총 1,075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에 다리 잃은 남자
팝뉴스
l
2017.08.03
마이크 쿠츠는 상어가 대단히 아름다운 동물이며 인간이 갖고 있는 적대감 때문에 점차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한다. 또 샥스핀 요리를 만들어 팔려는 인간의 탐욕도 상어를 위기에 몰아넣고 있다며 관련 사진도 게시했다. 상어를 아름답고 소중한 생명체라고 주장하는 마이크 쿠츠. 사진 ... ...
지구상 최초의 꽃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02
암꽃과 수꽃이 모두 피는 것이며, 자웅이주는 버드나무와 같이 암꽃과 수꽃이 아예 다른
개체
에서 피는 것을 말한다. 연구팀은 최초의 꽃이 5개 이상의 암술과 10개 이상의 수술, 그리고 암술과 수술을 보호하는 하얀색의 꽃덮개 등 세 가지로 매우 단순하게 구성돼 있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 ...
‘황금박쥐’가 멸종위기종이 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7.13
연구원은 “붉은박쥐는 마지막 빙하기에 기후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며
개체
수가 줄어들었다”며 “이 상황에서 약 1만 년 전 현생인류가 등장해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현재 멸종 위기 상태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미국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학술지(PLoS ONE‧플로스원)에 5일 ... ...
멸종위기 곤충을 보존하라!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12
” 이어서 박물관과 생물 다양성 센터도 둘러봤어요. 애벌레와 곤충 500여 종(약 13만
개체
)의 표본이 썩지 않도록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었답니다. 나비 표본을 들고 있는 이준이 학생. - 김정 기자 제공 ● 애벌레는 한 가지 식물만 먹는 ‘스페셜리스트’ 다양한 종의 애벌레를 관찰하면서 한 ... ...
낙동강 한강 녹조 비상, 장맛비에 누그러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6.29
세포 4만1081개가 존재해 ‘경계’경보 상태다. ※ 환경부의 수질예보제란? 남조류
개체
수나 그들의 광합성으로 발생하는 클로로필-a 농도에 따라 ‘평상·관심·주의·경계·심각’ 등 5가지 단계로 구분한다. 남조류 세포 수가 1㎖당 1만 개를 넘으면 클로로필-a 농도와 관계없이 관심 단계를 ... ...
해부하지 않고도 실험 동물 변화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8
제대로 잡히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전극 삽입 수술을 하지 않고 한
개체
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뇌 뿐만 아니라 심장 근육이 만드는 자기장도 측정 가능하다.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불규칙적으로 뛰는 부정맥을 관찰할 수 있어 심장질환을 치료하는 신약 ... ...
미어캣 집단 소통 방법은? 바로 꼬리 아래 ‘OOOO 냄새'
동아사이언스
l
2017.06.12
드레아 교수팀은 미어캣의 몸에 있는 박테리아에서 나오는 화학물질이 무작위로 섞여
개체
별로 특유의 냄새를 내뿜는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지난 6월 12일(현지시각)에 발표했습니다. 미어캣은 꼬리 아래에 달린 주머니에서 나오는 냄새를 자신의 주변 바위나 풀에 ... ...
물 밖에서, 바늘도 없이, 제브라피쉬의 뇌파 검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7.06.12
주목받고 있다. 산란 및 부화주기가 짧고, 수조에 후보 약물을 풀어 동시에 많은 수의
개체
에서 약물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어 신약 후보 물질의 스크리닝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 제브라피쉬를 활용하려면 약물로 인한 뇌 변화를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여우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
2017.06.06
초기 기준에 따르면 대부분이 합격점을 줄 수 있을 정도다. 따라서 이 가운데 교배할
개체
를 선택하는 게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탈락한 여우들은 농장으로 보내져 ‘죽어서 모피를 남길’ 운명이 되는 걸 뻔히 아는 투르트로서는 ‘소피의 선택’인 셈이다. 결국 투르트는 언제부터인가 ... ...
[카드뉴스] 사람과 가장 잘 통하는 동물, 개
동아사이언스
l
2017.05.31
더 잘 알아들었습니다. 오랫동안 가축화되면서 사람의 말을 더 잘 알아들을 수 있는
개체
들이 선발됐으며, 이런 능력이 개의 유전자에 남게 된 것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죠. 거의 모든 개는 늑대에 비해 대단히 시끄럽고 소란스럽습니다. 이는 집을 지키기 위해 잘 짖는 개가 인간에 의해 선택됐다고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