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뉴스
"
전지
"(으)로 총 1,86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미 연구팀 세계 최고 효율 열전소재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문제로 논란이 많았으나 문제가 해결됐다”며 “이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가 태양
전지
연구의 대전환을 이룬 것처럼 다결정 주석셀레늄계 신소재가 초고성능 열전발전기술 상용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3일 발표됐다 ... ...
백금촉매·이차
전지
·음극소재 자립화 올해도 씨앗 더 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신소재공학부 교수)이다. 이중 초저백금 연료
전지
촉매 개발 플랫폼 연구단은 수소연료
전지
촉매로 쓰이는 희귀금속인 백금 양을 기존 10분의 1로 줄이면서도 성능은 같은 새로운 촉매 개발을 목표로 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실험실 단계를 넘어 상용화 과정으로 연결되지 못한 연구로 연구단은 ... ...
[프리미엄 리포트]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
과학동아
l
2021.07.31
원’의 시제품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라이트이어 원은 후드와 지붕에 덮인 5m²의 태양
전지
에서 동력을 얻는다. 한 번 충전으로 725km를 달릴 수 있다. 상용화를 앞둔 모델도 있다. 2020년 12월 미국 자동차 업체 압테라는 충전이 필요없는 태양광 전기차를 공개했다. 비행기를 닮은 유선형 3륜차로 ... ...
러 우주모듈 '나우카' 도킹 후 ISS 기울어…미 신형우주선 스타라이너 시험비행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발사됐으나 ISS까지 가는 데도 수차례 어려움을 겪었다. 나우카는 발사 후 13분 만에 태양
전지
판을 펴는데는 성공했으나 통신 문제로 본래 예정했던 궤도에 진입하지 못했다. 첫 궤도 상승을 목표로 시작된 연소가 채 완료되지 않은 채 중단됐다. 러시아 모스크바 지상통제팀에서 나우카의 2차 ... ...
폭염·탄소중립 시대 재조명되는 수력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미 수력발전소가 있는 저수지에 부유식 태양
전지
판을 추가하면 태양광만으로 연간 7.6테라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분석결과를 지난해 9월 국제학술지 ‘재생에너지’에 발표했다. 이는 수력발전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을 포함하지 않은 결과다. ... ...
"수소연료 저장 최적 물질 찾아낼 평가 장치 개발"
연합뉴스
l
2021.07.22
"고효율 수소운반체 후보 물질 채택에 도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수소·연료
전지
연구센터 김용민 박사팀이 수소 연료를 저장하는 최적의 물질을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지금까지 수소운반체 후보 물질들은 각기 다른 조건에서 성능이 평가돼 ... ...
기초지원연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해 세계적 분석기관으로 도약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소재분석연구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개발한 구부리거나 잘라도 동작하는 전고체 이차
전지
의 모습이다. 기초지원연 제공 이날 기초지원연은 충북 청주 오창에 건설이 예정된 다목적방사광가속기 구축 주관기관 선정을 통해 분석과학 종합연구기관으로 거듭나겠다는 비전도 밝혔다. 기초지원연은 ... ...
열대야에 몸 젖는 밤, 땀으로 전기 만든다...10시간 자고나면 손목시계 하루 사용량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달고 피부와 닿는 부분엔 하이드로겔을 붙여 땀의 흡수력을 높였다. 이 반창고형 연료
전지
에는 압력이 가해지면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의 기능도 들어있다.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누를 때마다 전기를 생산한다. 정보기술(IT) 전문매체 씨넷은 “지금까지 개발된 대다수 에너지 하베스팅 ... ...
"배터리 용량 2.6배 늘리는 전처리 용액 개발"
연합뉴스
l
2021.07.15
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박사, 에너지소재연구센터 홍지현 박사, 수소·연료
전지
연구센터 정향수 박사 공동연구팀이 리튬 배터리의 흑연·실리콘 복합 음극 제작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전처리 용액을 개발해 기존 대비 2.6배 이상의 용량을 갖는 음극 소재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 ...
특허 1570건·논문 2171건 ‘소부장 사태 2년' 성과물이라는데…원천기술 얼마나 확보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중이다. 도금액 역시 지금까지 전량 수입해왔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수소연료
전지
의 핵심 소재인 불소계전해질막, 전극 촉매, 전극용 카본, 가스켓 등을 국산화하거나 대체할 기술을 개발해 기술이전을 마쳤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주력산업의 핵심품목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와 고도화를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